반응형

미국 해병대의 차세대 수륙양용 장갑차(Amphivious Combat Vehicle) 해병대에 처음으로 인도 돼었다는 소식입니다. 

이 ACV는 미 해병대가 40년째 운영하고 있는 30T짜리 궤도형 상륙돌격 장갑차(AAV)를 대체할 예정이라 합니다. 

이것을 계기로 한국 해병대도 관심을 갖고 있는 모습입니다. 

미국 방산 전문 메매체 디팬스 블로그와 아미레 커그 니션닷컴 등에 따르면, 미 해병대 1사단은 지난 4월 캘리포니아주 두웬티나인 팜스에 있는 해병 공지 전투센터에서 인수식을 갖고 ACV를 첫 인도분을 인후 했다고 밝혔습니다. BAE스스템스는 총 48대를 인도하였다고 합니다. 

미해병대 차세대 ACV 이미지  출처:미해병대

 1. ACV인수 관련 내용

미 해병대 1사단은 2020년 11월 4일 캘리포니아주 투웬티 나인 팜스에 있는 해병공지전투센터에서 인수식을 가졌으며 ACV를 천 인도분을 인수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BAE시스템스는 총 48대를 인도했다고 합니다. 

 

미 해병대는 2020년 2월 저율 초도 생산(LRIP) 단계에 따라 ACV26대를 1억 1350만 달러에 발주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로써 ACV발주량은 116대로 늘어났습니다. 미 해병대는 2018년 6월 BAE시스템스와 30대를 1억 98만 달러에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에는 총 12억 달러, 204대를 생산하는 선택 사안을 붙어 있었습니다. 

 

BAE가 제작한 ACV는 기동성과 생존성, 응용성이 개선된 상륙 장갑차량입니다. 

바퀴 8개인 해병 개 운용한 기존의 LAV-25에 비해서 상당히 크고 무겁습니다. 그만큼 장갑과 무장이 강화됐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고 합니다. 양산되면 미국에서 운용되는 8륜 장갑차 가운데 가잔 큰 장갑차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6실 린더 700마력 엔진의 디젤 엔진의 강력한 힘 덕분에 유지에서 최고 시속 105km 바다에선 시속 6노트(시속 11km) 정도의 속력을 낸다고 합니다. 육지에서 최대 주행거리는 523km, 바다에서 12해리 혹은 22km 정도를 항해한다고 합니다. 

 

 

미 해병대가 1983년부터 운용 중인 8륜형 수륙 장갑차 LAV-25는 무게가 12.8톤에 불과합니다. 총 753대가 발주됐습니다. 

용접 강 철장급을 해 소구 결 소총탄 방호 능역을 갖고 있습니다. 부가 장갑을 설치하면 사방 14.5mm 탄, 전면 30mm 탄 방호능력을 갖는다고 합니다. 

 

 

2. 제원 알아보자

길이 6.39m
너비 2.69m
탑승인원 승무원3명,보병6명
엔진마력 275마력 디젤엔진
최고속력 시속 100km
주무장  부시마스터 25mm, 체인건1문 7.62mm기관총 

 

미 해병대는 궤도형 AAV도 운용 중입니다. 

이 AAV는 1972녀부터 양상 됐습니다. 한국군도 국내에서 면허 생산해 운용하고 있습니다. 길이 7.94m, sjql3.27 m, 높이 3.26m로 승무원 3명 외에 해병대원 21명을 태웁니다. 

 

40mm 자동 유탄 발사기 1문과 구경 12.7mm 기관총으로 무장합니다. 400마력짜리 엔진을 장착해서 야지에서 25~32km, 수상 13.2km, 도로에서 시속 72km 속력을 낸다고 합니다. 

 

 

미해병대 ACV관련동영상











728x90
반응형

'해병대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H-1Z바이퍼- 해병대 공격헬기  (0) 2021.10.17
대한민국 해병대(ROK MARINE CORPS)  (0) 2021.07.18
해병대 (MARINE CORPS)  (1) 2021.07.18
반응형

Bell AH-1Z 바이퍼는 현제 미 해병대에서 주력으로 사용하는 공격 헬리콥터로, 현제까지 나온 AH-1 휴이 코브라 공결 헬기 계열 가운데 최신형, 최후 기형입니다. 

AH-1Z바이퍼- 해병대 공격헬기 이미지 출처 :미해병대

목차 

1. 개요

2. AH-1Z바이퍼 개발

3.  AH-1Z특징

4.  AH-1Z제원

5.  AH-1Z운용현황(5-1. 미 해병대 퇴역 예정 5-2. 대한민국 해병대 도입 시도)

 


1. 개요 

Bell AH-1Z 바이퍼는 현제 미 해병대에서 주력으로 사용하는 공격 헬리콥터로, 현제까지 나온 AH-1 휴이 코브라 공결 헬기 계열 가운데 최신형, 최후 기형입니다. 

역사상 최초의 공결 헬기인 AH-1G 휴이 코브라는 1967년 등장해, 베트남전에선 그 진가를 인정받았습니다. 이후 휴이 코브라 공격헬기는 미 육군과 해병대의 주력 공격 헬기로 자리 잡으면서 , 각군의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발전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미 해병대의 코브라 공격헬기는 상류 전을 담당하는 해병대의 특성에 맞게 해상에서의 안전성을 고려해 쌍발 엔진을 장착했습니다. 또한 헬기 동체에 해수에 견딜 수 있는 피막처리 릉 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미 해병대의 코브라는 미 육군의 코브라와는 다른 독자적인 모델로 분류 되게 됩니다. 

 

오늘날 미 육군의 코브라 공결 헬기는 모두 퇴역했으며 그 자리는 아파치 공격헬기가 대신하고 있습니다. 반면 미 해병대는 운용 중인 AH-1W 슈퍼코브라 공격헬기를 한층 업그레이드시켜, 미 육군의 아파치와 대등한 성능을 가진 AH-1Z바이퍼 공격헬기를 운용할 예정입니다. 

 

 

미해병대 바이퍼 영상 출처 미해병대

 

2. AH-1Z바이퍼 개발

1996년 미 해병대는 노후된 UH-1N과 AH-1W를 개량하는 H-1 업그레이드 계획을 추진하였고 BELL 사에 기존 AH-1W의 작전행동반경이 증대와 기동성 및 생존성, 화력, 함상 운용성 등을 요구하였으며, 그 요구에 맞춰 완전히 새롭게 개량한 것이 AH-1Z바이퍼입니다. 이후 200년 12월 9일 초도 비행을 실시하였고, 2003년 10월부터 초도 저율 생산에 돌입했습니다. 

2005년 해상 비행 시험을 완료하고 2005년 1015일 미 해병대는 해군 항골 시스템 사령부를 통해 AH-1Z의 납품 승인을 하였고 2006년 개발 시험 평가를 종료하고 2010년 9월부터 본격 양산되기 시작했습니다. 

 

 

3.AH-1Z바이퍼 특징

주요 개량 사항으로 AH-64D에 장작 되는 General Elecitric T700GE-7001C엔진을 장착하였으며 메인 테일 로터를 탄소 -에폭시 복합 섬유를 기반으로 한 4 엽 블레드로 교체하였으며, 로터 허브는 단 2개의 계철로만 제작되어 비행 안정성을 크게 높였고 에비오닉스의 경우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는데, 노스롭 그루먼사의 통함 항공전자 시스템을 탑재하였고 이시스 템에는 임무용 컴퓨터 2대와 자동 비행 제어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신형 자동비행 시스템을 도입하여 항공 제어 능력을 향상했고 조적 성에 8 × 6인치 MFD LCD한쌍과 4.2 ×4.2인치 RFD LCD 1기가 탐재되므로 조종석이 글라스 칵핀화 되어있다고 합니다. 

 

록히드 마틴사의 AN/AAQ-30 EO/IR표전 조준 체계에 포함된 2세대 FLIR센서가 탑재되어 AH-64D롱보우 아파치의 TADS/PADS1세대 광학 장비보다 우월한 광학 장비로 2배 높은 해상도와 배율을 가지고 최신형 AH-64E아파치 가디언의 M-TADS/PNVS보다 뛰어난 탐지 능력으로 목표 획득 능력이 크게 좋아졌습니다. 

 

총 200대가 미 해병대의 의 발두 된 상태이고 엔진과 로터 블레이드가 개량된 만큼 상승력을 포함한 기체 성능도 월등히 올라갔고, 특히 하드포인트가 AGM-114 헬파이어 대전차 미사일 16발이나,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 2발과 ECM, AN.APG-78 밀리미터파 사격통제 레이더 등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기술로는 HUMS기체 모니터링 시스템과 HOCAS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탈레스사의 탑 아울 HMS/D도 한몫하는데, 주/야간 기능과 40 º시야의 양안식 디스플레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 장비 덕에 생존성 및 목표 조준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헬멧의 중량은 2.6KG인데 AH-1Z바이퍼의 최대 중력 한계인 2.8G의 상황에서도 조종서가 무리 없이 버틸 수 있는 정도입니다. 

이장비는 타이거 같은 공격 헬리콥터는 물로 다목적 UH-1Y나 NH-90 헬리콥터에도 채택되었습니다. 

 

탈레스사의 탐 아울 HMS/D 헬멧  이미지 출처: 미해병대

다만 장비가 많아지고 대형화하면서 기존 AH-1W 슈퍼 코브라들보다는 정비 시간이 늘어났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AH-64 계열보다는 자 고장이 적고 장비가 편하다고 합니다. 그것이 어느 정도인가 AH-64D아파치 1개를 점검, 정비할 시간에 AH-1Z바이퍼 2개를 정비하는 수준입니다. 

기존 AH-1W 슈퍼코브라와 많은 부분이 달라지기는 했으나 기존 AH-1W 개조로도 조달 가능한 기종인 만큼 부품 공유도 되고 UH-1Y와도 부품이 공유가 됩니다. 그 동항 수십 년을 운용해온 노하우를 통해 개선된 부분, 그리고 거친 환경의 해병 대 운영 저건으로 인해 신뢰성과 정비성을 개발단계부터 신경 썼다도 합니다. 

 

4.AH-1Z바이퍼 제원

Bell AH-1Z Viper
개발사 Bell Helicopter
제조사 Bell Helicopter
초도비행 2000년 12월 8일
생산기간 2000년 ~ 현재
생산대수 61대 이상
총 200대 생산 예정 (미 해병대 기준)
배치기간 2010년 9월 30일 ~ 현재
전장 동체 : 13.87 m
날개 포함 : 17.63 m
전폭 동체 : 0.99 m
스텁윙 포함 : 3.28 m
날개 포함 : 14.63 m
전고 4.37 m
공허중량 5,579 kg
탑재중량 2,615 kg
최대이륙중량 7,666 kg
호버링 최대중량 8,392 kg
로터 시스템 메인 로터 4엽, 테일 로터 4엽
엔진 General Electric T700-GE-401C 터보샤프트 엔진 x2기
엔진출력 T700-GE-401C
1,890 HP (x2 3,780 HP)
순항속력 265 km/h
최고속력 296 km/h
한계속력 411 km/h
전투행동반경 234 km
최대작전거리 334 km
분당상승률 685 km
실용상승한도 2,790 ft/min (14.2 m/s)
레이더 AN/APG-78 사격통제 레이더 (스텁윙팁에 장착)
추적장비 AN/AAQ-30 Hawk Eye XR 목표탐지시스템
경보 / 대응장비 AN/AVR-2B(V) 레이저 경보 장치
AN/APR-39(V) 레이더 경보 장치
AN/ALE-47 채프/플레어 사출기
AN/ALQ-212(V) ATIRCM/CMWS
하드포인트 총 6기
고정 A49E-7(V) UTS turret
M197 20mm 3열 기관포 x1기
750발
로켓 LAU-68C/A 7발 런처 or LAU-61D/A 19발 런처
Hydra 70 70mm 무유도 로켓 or APKWS II 유도 로켓 탑재
미사일 AIM-9사이드와인더
2발 탑재
스팅어
2발 탑재
AGM-114K 헬파이어2
16발 탑재
승무원 2명 (조종사, 무장관제사)

5.  AH-1Z운용현황

미 해병대 

-총 200기 도입할 예정이며 2020년도 계약분이 최소 되면서 2021년까지 생산할 예정.

 

체코공군

-총 4기 도입 예정임.

바레인 왕립 공군

-총 12기 도입 예정입니다. 2022년까지 도입 완료 예정.

 

파키스탄 육군 항공대

-총 15기 도입 예정, 현제 9기 운용 중. 

 

5-1. 미 해병대 퇴역 예정

2020년 3월 데이비드 버거 미 해병대 사령관은 해병대 소속 공격 헬리콥터 2개 대대를 해체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앞으로의 잠재적 적인 중국군과 주 전장인 동남아시아 섬 지역 엣 싸우기 위서는 무거운 전차/야포, 비대한 대형 상류 함정/헬리콥터 편제를 과감히 개편하고 , 대신 기동성에 중점을 두고 중대급 전투단을 중심이 되어 가벼우면서 고화력인 유도탄, 로켓탄, 적의 레이더에 잘 피탐되지 않을 드론과 소형 고속상륙정 등을 사용하여 여러 섬들 사이를 이동하면 중국군을 치고 빠지며 강력한 적 전력을 발견하면 타군의 중무장 병기를 유도하여 격하하는 식으로 육군의 제75 레인저 연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중국군과 싸우겠다는 구상입니다. 

 

하지만 이전에 알려진 바와 달리 미 해병 경공력 헬기 비행 대 개편은 AH-1Z공격 헬리콥터가 전량 조기 퇴역하는 것은 의미하지 않으며, 미 해병대가 운영하는 전체 189 구대의 AH-1Z수량 중 27대만 조기 퇴역합니다. 

미 해병대는 이 27대의 정확한 처분을 아직 결정하지 않았으며, 부품 동류 전환, 비무장화 후 산림청과 같은 타기관으로 양도 , 동맹국에게 판매하는 방안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5-2. 대한민국 해병대 도입 시도

해병대 상륙공격 헤리 콥터 사업은 200년대 초부터 언급되었으나, 예산 문제로 오랫동안 미뤄졌습니다. 

그라다 2017년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하였고 2018년 1월 대한민국 해병대는 중기 계획으로 공결 헬리콥터 대대를 창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해병대 숙원 '상륙공격 헬리콥터 후보 기종 공개'

지난 2019년 1월 14일 국방 기술품질원에서 상륙 공력 헬리콥터 사업 비용 분석을 입찰 공고했습니다. 

국방기술 품질원의 상률 공결 헬리콥터 사업 선행연구에 국내외 업체 5곳이 정보를 제공 헸으며, 기존 후보로는 BELL의 AH-1Z바이퍼, 아파치 가디언, TALT-129, SIKORSKY, S-70, KAI마린온의 무장 탑재형이 제안되었습니다. 

 

도입 예산은 1조 원 내외로 책정될 수 있다고 하며, 또한 도입 규모는 상륙 공력 헬리콥터 24대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2021년 창설될 예정인 해병대 항공단은 2개의 상률 기동 헬리콥터 대대와 1개의 상류 공격 헬리콥터 대대로 구성되고

1019년 1015일 경기 화성 해병대 사령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를 통해 공중돌격 엄호와 항공화력지원을 담당할 상률 공력 헬리콥터 도입을 추진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도입 여부를 결정할 한국 구방 연구원의 전력 소요 분석은 오는 12월까지 진행되며, 분성이 완료된 이후 방위사업청에서 국내 개발 또는 해외에서 도입할 것인지 대한 획득 방식을 검토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추후 다른 글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해병대 핵심가치

핵심가치 의의가. 일반적 정의

핵심가치(核心價値 : Core Value) : 핵심(Core) + 가치(Value)의 합성어.
내면세계의 기준이 되는 가치관, 목표를 향해 공유하고 실천하는 사고와 행동의 기준

나. 핵심가치의 특징과 역할

핵심가치는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해석되거나 표현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핵심가치는 핵심적
(Core)이어야 하며, 윤리적(Ethic)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하고, 구성원들의 열정적(Passionate) 공감과 지지를 바탕으로
오랜 기간 지속(Constant)되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다. 핵심가치의 역할

첫째, 해병대 장병들을 일치단결시켜 위기 극복을 위한 구심점 역할
둘째, 해병대 문화의 중심으로 해병대 장병들의 정체성 및 상호 간 신뢰, 소속감 강화
셋째, 해병대 장병 스스로 지탱하는 정신적 지주
넷째, 해병대 장병들의 사고와 행동의 기초적 준거, 조직의 윤리적 환경 조성에 기여


한 번 해병대가 된다는 것은 해병대의 가치를 받아들이겠다는 것입니다. 사령관은 해병대 장병 및 군무원 모두가 해병대의 핵심가치를 이해하고, 이 가치가 어떻게 전통적으로 해병대에서 이어왔는지, 또 앞으로 변함없이 계승되기를 분명한 목표로 가슴에 새겨 주길 바랍니다.
- 해병대 재창설 기념 및 핵심가치 선포식 기념사 중 -

해병대 마크



싸움터 어느 곳에서나 영광을 쟁취하였던 해병대를 상징하는 ‘해병대 마크’는 해병대 조직의 정체성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창설 초기에는 해병대 마크가 제정되지 않아 해군 장교 모표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1951년 8월 1일 별도의 해병대 모표를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모표는 장·사병용으로 구분하여 장교용은 독수리와 별은 은색, 닻은 금색이며, 사병용은 전 부분을 금색으로 하여 구분하였습니다. 해병대 마크는 자신이 해병임을 항상 자랑스러워하면서 해병대에 대한 무한한 충성과 명예심의 표현이라 하겠습니다. 이는 군대의 위치를 알리고 장병의 사기를 북돋우며 군대의 명예와 단결을 상징하기 위한 군기(軍旗)인 해병 대기 중앙에 새겨지며 제복의 어느 한 부분에 압인 하거나 배지로 제작된 것을 부착하며 또는 간행물 표지에 표시하기도 하고 스티커로 만들어 차량에 부착하는 등 널리 애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병대 마크는 정의와 자유를 위하여 바다와 육지에서 용맹스럽게 적과 싸워 승리하는 해병대를 상징합니다. 마크는 리본(‘정의와 자유를 위하여’), 독수리, 별, 닻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표는 리본이 생략된 세 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마크의 각 부분이 상징하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 리본
독수리가 입에 물고 있는 리본에 적힌 ‘정의와 자유를 위하여’는 해병대가 존재하는 목적을 나타 낸글귀로서 내 한 목숨 해병대라는 조직과 조국에 바친다는 의미 합니다.

▶ 독수리
용맹성과 승리의 상징으로 민족과 조국의 수호신이면서 전장에서 승리의 불사신이기를 갈망하는 해병대의 기상을 의미▶ 별
지상전투를 상징하기도 하는 별은 조국과 민족의 생존을 위한 국방의무의 상징으로 조국과 민족을 지키는 해병대의 신성한 사명을 나타 냅니다.

▶ 닻
해양 또는 해군을 상징하기도 하는 닻은 배를 일정한 곳에 머물러 있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갈고리로서 기울어져 있는 모양의 닻은 함정이 정박 또는 정선하여 해병대 고유의 임무인 상륙작전 개시를 의미입니다.

 

팔각모



일반적으로 모자(帽子)는 예의를 지키기 위하여 또는 추위나 더위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거나 장식적 또는 사회적 지위의 상징으로서 머리에 쓰는 것을 총칭하여 일컫는다. 이러한 모자는 과거에 주로 개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 짓기도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사회적 신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용도와 편리성, 선호도 등에 따라 그 형태도 다양하게 변모하였습니다. 군대에서도 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특히 평상시 장, 사병이 공통적으로 쓰는 전투모는 색깔 및 형태에 따라 해당 군의 정체성을 상징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해병대를 상징하는 ‘팔각모’는 다음과 같은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팔각모는 신라시대 전 신라인의 정신이기도 하였던 화랑도 정신인 오계(五戒)와 세 가지 금기(禁忌)를 포함하며 팔계(八戒)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팔각모는 팔각(八角)의 의미와 "팔극(八極)"의 의미를 함축

『팔극(八極)의 의미』
- "지구 상 어디든지 가서 싸우면 승리하는 해병대"임을 상징합니다.

『팔각(八角)의 의미(화랑도 정신인 오계(五戒)와 세 가지 금기(禁忌)를 표현)』
- 국가에 충성하라(事君以忠)
- 뜻 없이 죽이지 말라(殺生有擇)
- 벗에게 믿음으로 대하라(交友以信)
- 욕심을 버려라(禁慾)
- 부모에게 효도하라(事親以孝)
- 유흥을 삼가라(愼遊興)
- 전투에 후퇴하지 말라(臨戰無退)
- 허식을 삼가라(愼虛飾)

 

▶ 팔각의 중심점은 지휘관을 중심으로 하여 여덟 가지 해병대의 길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 국가에 충성하라(事君以忠)
- 평화의 독립 수호
- 적에게 용감
- 엄정한 군기
- 긍지와 전통
- 희생정신으로 국가에 헌신
- 불굴의 투지
- 가족적인 단결 도모
- 필승의 신념으로 승리 쟁취

 

붉은 명찰



해병대에서는 오른쪽 가슴에 붉은 명찰(속칭)을 달 수 있을 때 비로소 해병대의 일원이 되었음을 인정받게 됩니다. 그만큼 붉은 명찰은 해병대 장병들에게 단순히 자신의 이름을 나타내는 표식물이 아니라 ‘해병대 아무개’라는 해병대에 소속된 한 일원으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라는 명령인 동시에 징표인 것입니다.

이러한 명찰이 상징하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진홍색
'피'와 '정열', '용기', '신의' 그리고 '약동하는 젊음'을 조국에 바친 해병대의 전통을 상징.
(약칭 : 피와 정열)

▶황색
해병대는 신성하며, 해병은 언제나 예의 바르고 명랑하며 활기차고, 땀과 인내의 결정체임을 상징.
(약칭 : 땀과 인내)

 

해병대 역사

 

해병대 창설(1949.4.15.)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리적 여건과 여·순사 건의 전훈에 따라 상륙작전을 수행할 부대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병대가 창설되었습니다.

이어서 1949년 5월 5일 대통령령 제88호로 해병 대령이 공포되었고 당시 해군에서 편입한 장교 26명과 부사관 54명, 그리고 병 300명(해군 13기에서 특별 모집한 해병대 병 1기생)으로 구성된 380명은 초대 사령관 신현준 중령 지휘 아래 온갖 고난과 역경을 헤쳐 나가면서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는 해병대 정신으로 해병대의 굳건한 초석을 다지기 시작하였습니다.

 

1949년 8월 1일 장교와 부사관을 해군에서 추가로 증원받고 해군 14기 중 440명을 해병대 병 2기로 특별 모집하여, 2개 대대 규모로 증편하였습니다.

 


6.25 전쟁

 

▶ 해병대와 한국전쟁

 

해병대는 창설된 지 불과 1년 뒤인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이 발발하자 장항·군산·이리지구에 투입되어 적의 남진을 지연시켰고 진동리지구 전투에서는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빛나는 영예를 차지하였으며 통영 상륙 작전에서는‘귀신 잡는 해병대’라는 영원한 애칭을 얻는 등 연전연승하였습니다.

 

특히, 북괴군의 발악적인 최후 공격으로 낙동강 전선이 위기에 처했을 때, 우리 해병대는 동년 9월 15일 한반도 전세를 완전히 역전시킨 인천 상륙작전에 미 제1해병사단과 같이 참가하여 북진의 발판을 마련하였고, 9월 20일부터 수도 서울 탈환작전을 감행하여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수훈을 세웠습니다.

 

인천에서 함정으로 원산·함흥지역으로 이동, 분전하던 해병대는 중공군의 개입으로 철수하였고, 1951년 1·4 후퇴 이후 국군과 유엔군이 반격전을 실시할 때 북진하던 중 적의 철옹성과 같았던 도솔산과 펀치볼 일대를 공격, 이를 탈취하여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무적해병’ 휘호를 하사 받고 ‘신인이 경탄할 공훈’이라는 격찬을 받았습니다.

 

한편, 해병대는 1951년 2월부터 동·서해안 전략도서 확보 작전을 수행하여, 휴전 뒤 서해 5개 도서를 아군의 통제 하에 두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1952년 3월, 중동부전선에서 서부전선으로 이동한 해병대는 장단(사천강) 지구 전투를 1년 4개월 동안 수행하면서 중공군의 인해전술 공격을 격퇴하고 현 전선에서 휴전을 맞이하였습니다.

 

▶ 장항·군산·이리지구 전투(1950. 7. 15. ~ 21.)

 

북괴군이 남침을 개시한 이후 북괴군 제6사단 제13연대는 1950년 7월 초천안을 점령하였고 서해안을 따라 남하하면서 호남지역으로 진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 해병대의 고 길훈 부대는 제주기지를 떠나 7월 16일 군산에 상륙한 후 장항 북쪽으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북괴군의 진출을 지연시켰고 7월 20일까지 군산, 이리 방면에서 적과 치열한 전투를 벌 여적이 순조롭게 남하하지 못하도록 저지하였습니다.

 

진동리 지구 전투(1950. 7. 31. ~ 8. 13.)

 

1950년 8월 3일, 경남 진동리 서쪽 고사리에서 북괴군 제6사단 정찰대대에 기습공격을 감행하여 적 제6사단 공격의 예봉을 꺾고 침공을 저지, 창군이래 최대의 전공을 세워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영예를 얻었다. 동년 8월 7일부터 미 육군 제25사단을 주축으로 편성된 킨(Kean) 특수임무부대가 방어작전 시 공세 활동의 일환으로 진주 방향에 대규모 역공격(1950.8.7.~ 8.12.)을 실시하는 동안, 우리 해병대는 서북산 일대의 적을 격퇴하여 진동리와 마산 간의 보급로에 대한 적 위협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낙동강 방어선을 튼튼히 구축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통영 상륙작전(1950. 8. 17. ~ 9. 22.)

 

낙동강 방어선에서 교착 상태에 빠진 북괴군은 거제도를 점령하여 전략요충지인 마산과 진해를 봉쇄하기 위하여 적 제7사단 예하 제51연대 1개 대대(약 370명)를 통영 방면으로 진출시켰습니다. 이후 약 250명의 적이 후속하여 통영 시내에는 약 600명의 적이 준동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 해병대의 김성은 부대는 1950년 8월 17일 18:00에 7척의 해군 함정 지원 아래 장평리 해안에 한국군 최초의 단독 상륙작전을 감행하였습니다. 이 작전에서 해병대는 작전의 승패를 가름하는 망일봉 고지를 적보다 5분 먼저 점령하여 공격해 올라오는 적을 격퇴시킨 후 통영시내에 잔존하고 있던 적을 완전히 격멸하였습니다.

 

이후 원문고개를 점령하여 적의 퇴로를 차단하고 여러 차례에 걸쳐 증원을 시도하던 적 부대를 격퇴시킴으로써 낙동강 교두 보선의 서측방 위협을 제거하였습니다. 통영 상륙작전은 당시 우군의 낙동강 교두보 방어작전 중에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이자 유일한 공격작전이었고 당시 뉴욕 헤럴드 트리뷴지의 여 종군기자인 마가렛 히긴스가 본국으로 타전한 기사에서 ‘귀신도 잡을 수 있는 부대’라고 격찬하여, 여기에서 유래된 ‘귀신 잡는 해병대’라는 표어는 오늘날까지 우리 해병대를 대표하는 표어로 국민에게 기억되고 있습니다.

 



경인지구 작전(1950. 9. 15. ~ 10. 7.)

 

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 방어선에서 북괴군의 발악적인 최후 공세를 저지한 가운데 맥아더 장군은 병참선을 차단하여 남침한 적을 고립시킨 후 섬멸함으로써 조기에 전쟁을 종결한다는 계획 아래 1950년 9월 15일, 261척의 함정으로 구성된 유엔군 제7합동상륙기동부대가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를 선두로 세계 전사에 빛날 인천 상륙작전을 전개하였 습니다.

 

이 작전에서 제7합동상륙기동부대는 48시간 동안 항공모함 함재기 약 200대를 활용한 공중폭격과 함포사격을 실시하면서, 9월 15일 06:30에 미 제5해병연대 제3 대대가 20척의 상륙주정으로 녹색 해안에 상륙, 저항하던 적을 완전히 격멸하고 월미도를 탈취·확보하였습니다.

 

동일 17:30 한·미 해병대가 400여 척의 상륙장갑차 및 상륙주정에 분승하여 적색 해안과 청색 해안에 상륙하여 인천을 방어하던 북괴군을 격파하고 인천 시가지와 해안두보를 탈취·확보함으로써 낙동강 전선에서 총반격작전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수도 서울을 조기에 탈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해안두보를 확보하여 인천 상륙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미 제10군단은 9월 18일부터 서울 방향으로 진격하여 11일 동안 작전을 전개한 끝에 서울 외곽 지역과 시가지에서 저항하던 북괴군을 격멸하고 서울을 탈환하였습니다.

 

이 작전에서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는 선봉부대로 서울 서측방에서 중심부로 공격을 개시하였고, 미 육군 제7보병사단과 한국 육군 제17보병 연대는 서울 남측 방과 동 측방으로 우회 기동 하여 적의 퇴로를 차단하는 작전을 전개하였습니다.

 

한국 해병대는 9월 20일, 한강을 도하하여 수색 방향으로 진격한 뒤 적의 최후방어선인 104 고지와 연희고지군 일대에서 저항하던 적을 격파하여 수도 서울 탈환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으며, 시가지 전투를 전개한 끝에 9월 27일 06:10,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함으로써 90일 동안 적의 점령 아래 있었던 서울을 탈환하고 9월 29일,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이 참석한 가운데 역사적인 환도식을 거행하였습니다. 이후 양주군 북한강 일대에서 잔적을 소탕하다가 명에 의거, 인천으로 이동하여 차후 작전을 준비하였습니다.

 

▶ 북진. 철수. 재 반격작전(1950년 10월 ~ 1951년 6월)

 

1950년 10월 1일, 국군과 유엔군이 38도선을 돌파하여 한·중 국경의 혜산진까지 북진할 때, 해병대는 10월 7일부터 대대별 순차적으로 인천을 출항, 목포·묵호에 각각 1개 대대가 상륙하여 잔적을 소탕한 후 원산·함흥으로 이동하였고 2개 대대는 원산에 상륙하여 고성·원산·함흥지구 전투를 수행하였습니다. 10월 25일, 중공군이 불법 개입하여 공세를 취하자 원산·함흥을 철수하여 진해에 집결한 해병대는 12월 20일, 제1연대와 독립 제5대대로 개편하였습니다.

 

1951년 1월 4일, 수도 서울이 다시 적의 수중에 함락된 이후 국군과 유엔군의 재 반격작전에 우리 해병대도 참가하여 영덕·안동·홍천·화천지구 전투를 수행하였습니다.

 



전략도서 확보 작전(1951. 2. 14. ~ 1953. 7. 27.)

 

6·25 전쟁 동안 해병대는 부대의 특성을 활용하여 38도선 이북 동·서해안의 전략도서 확보 작전으로 해군 활동을 보장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해병대는 동해안 도서 확보를 위하여 1951년 2월 2일, 독립 제42중대를 편성하여 2월 14일, 원산 앞 여도에 상륙한 후 영흥만 일대의 신도 등 7개 도서를 점령함으로써 원산항을 봉쇄하였으며 서해안 도서작전을 위하여 독립 제41중대를 편성하여 서해안의 교동도(4월 2일), 백령도(4월 23일), 진남포에 인접한 석도(5월 7일)를 차례로 점령하였습니다.

 

1951년 8월 28일, 독립 제43중대는 함경도 명천 부근의 양도에 상륙하여 차기 작전을 대비하던 중, 1952년 2월 20일, 적 1개 대대가 기습적으로 상륙하여 공격하였으나 이를 정말 섬멸하는 전공을 세웠고 한편 1952년 1월 15일, 해안선 봉쇄를 강화하기 위하여 해병대 사령부 직할부대로 해병 도서부대를 편성하여 제7 대대를 도서인 석모도 및 초도에 주둔하게 하고, 제9대대를 백령도 및 연평도에 증강 배치하였으며 제8대대를 동해 도서인 여도 및 양도에 주둔하게 하여 휴전 시까지 약 1개 연대 규모의 병력이 전략도서 확보 작전 임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이 작전은 휴전 뒤 백령도를 비롯한 서북 5개 도서를 아군 통제하에 두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김포 지구 전투(1951. 3. 7. ~ 1953. 7. 27.)

 

1950년 9월 21일, 수도 서울 탈환작전에 참가한 해병대 제3대대는 김포 비행장을 공격하는 적 2개 대대를 격퇴하고 김포·강화도를 확보하였습니다.

 

1951년 1월 24일, 영덕·안동지구에 출동하여 작전을 수행하던 해병대 독립 제5대대는 2월 16일, 수도 서울 재 수복작전을 전개하기 위하여 인천에 상륙, 잔적을 소탕하고 인천시를 방어(1951.2.26.~3.6.)하면서 서울 영등포 일대에 정찰대를 파견, 서울 재 수복작전에 기여하였고 3월 7일부터 김포 지구 작전을 전개하여 잔적을 소탕하고 김포반도를 완전히 장악한 뒤, 휴전 시까지 한강을 사이에 두고 중공군과 대치하여 수도 서울로의 침공을 저지하면서 한강 너머 개풍군 및 개성 부근 일대에서 정찰대를 운용하여 월암리 전투 등 50여 회의 작전을 수행하고 한강을 사수하여 수도권 방어에 기여하였습니다.



도솔산 지구 전투(1951. 6. 4. ~ 20.)

 

국군과 유엔군이 1951년 5월, 중공군의 춘계 공세를 격퇴한 직후 미 제1 해병사단 제5해병연대가 양구군 해안면의 펀치볼 남서쪽에 있는 전략 요충지 도솔산(1,148 고지)을 공격하다가 적의 완강한 저항으로 피해가 속출하자 공격임무를 한국 해병대 제1연대에게 부여하였습니다.

 

6월 4일, 한국 해병대 제1연대가 공격을 개시하자 능선 상에 철조망을 비롯한 무수한 장애물을 설치하고 암석지대를 교묘하게 이용하여 수류탄과 중화기로 무장한 적이 완강히 저항하므로 주간 공격을 야간 공격으로 전환하여 결사적인 작전을 감행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제1단계 작전(1951.6.4.~6.12.)으로 공격 목표 #1에서 목표 #16까지 점령한 뒤 캔자스선으로 진출하였고, 이어서 제2단계 작전(1951.6.13.~6.20.)을 전개하여 공격 목표 #17에서 목표 #24까지 점령하고 배 저 선까지 진출하였습니다.

 

한국 해병대 제1연대는 도솔산으로부터 대우산으로 연결되는 산악지역에 배치된 북괴군 제5군단 제12사단과 제32사단의 정예 부대가 난공불락이라고 호언장담하며 방어하고 있던 적의 진지에 대해 혈전 17일 동안 피와 땀으로 얼룩진 치열한 공방전과 무수한 희생 끝에 24개 목표를 점령하였던 것입니다.

 

도솔산을 탈환하여 중동부 산악지대에서 교착 상태에 빠져있던 우군 전선에 활로를 개척함으로써 국군과 유엔군에 의한 ‘피의 능선’,‘단장의 능선’ 전투 등이 이어져 마침내 지대 내의 적 방어선을 무너뜨릴 수 있었습니다.

 

이 전투가 종료된 후 이승만 대통령이 직접 도솔산을 방문하여 ‘무적 해병대’라 칭하면서,‘무적 해병’ 휘호를 하사하였고, 8월 19일에는 해병대 제1연대에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여하였습니다.



▶ 김일성/모택동 고지 전투(1951.8.31. ~ 9.3.)

 

휴전회담이 제기된 직후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 제1연대가 양구 북쪽 해안분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형상 불리한 조건을 무릅쓰고 3주간 피의 대공방전을 감행하였습니다. 제1단계 작전(1951.8.21.~9.1.)에서 현재 을지전망대와 가전리 일대(924 고지-1,026 고지-702 고지-660 고지)에 배치된 북괴군 제3군단 제1사단을 치열한 혈전 끝에 격퇴하고 펀치볼을 확보하였으며, 제2단계 작전(1951.9.1.~9.20.)에는 간무봉 일대의 적을 제압하여 내금강산을 통제할 수 있는 중요 지형을 장악하였고, 좌측방의 한국 국군 제5사단의 가칠봉 점령을 용이하게 하였습니다. 한국 해병대의 김일성(924) 고지 및 모택동(1026) 고지 전투는 펀치볼 작전의 제1단계 작전으로서 펀치볼 북쪽 능선 일대에 천문학적 숫자의 지뢰가 매설되었으나 4일 동안 이를 뺏고 빼앗기는 혈전 끝에 이들을 탈환함으로써 펀치볼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었고, 한국 해병대의 위용을 국내외에 다시 한번 과시하였으며, 이승만 대통령은‘신인이 경탄할 공훈’이라 격찬하였습니다.

 



▶ 장단(사천강) 지구 전투(1952. 3. 17. ~ 1953. 7. 27.)

 

1951년 7월부터 휴전회담이 개최됨에 따라 피아간 더 유리한 지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치열한 전초 진지 쟁탈전이 계속되었습니다.

 

1952년 들어 수도 서울에 가중되는 중공군의 위협에 대비하는 군사적 보완책으로 미 제8군은 부대 재배치를 착수하였는데 이승만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 제1연대를 가장 위협이 되는 서부전선으로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1952년 3월 17일, 중·동부전선에서 서부전선 장딴지 구로 투입된 한국 해병대 제1연대는 1953년 휴전 시까지 1년 4개월 동안 오늘날의 판문점에서 사천강을 따라 임진강 하구까지 11km에 달하는 주 저항선 전방의 8개 전초 진지에서 중공군 제65군 예하 2개 사단(제194·195사단)의 공격을 격퇴하였습니다.

 

1952년 10월 1일부로 전투단으로 개편된 해병대 제1 전투단은 사천강을 경계선으로 중공군 2개 사단에 의해 감행된 네 차례에 걸친 대규모 공격을 격퇴하여 수도 서울의 관문인 개성-문산 축 선을 지켜 수도권 방어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고 군사 분계선을 아군에 유리하게 확정 짓도록 하였습니다.

 

▶ 교육단 창설(1953. 2. 1.)

 

6·25 전쟁 기간 중 교육훈련의 중요성을 절감, 독자적인 해병대의 장교, 부사관, 병을 양성하기 위하여 해병학교 및 해병훈련소를 기간으로 해병 교육단을 창설하여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병대식 교육훈련으로 강인한 해병을 창출하는 산실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 제1여단 창설(1954. 2. 1.)

 

제1 전투단을 기간으로 제1여단을 창설하여 파주군 금촌면에 주둔하면서 상륙작전부대로서 조직을 정비하고 서부전선 및 수도권 방어 임무를 수행하였고, 1954년 3월 17일 미 해병대 제1사단의 본국 철수로 작전지역 작전권을 인수하였습니다.


이승만 여단기 수여식

제1상륙 사단 창설(1955. 1. 15.)

제1여단을 기간으로 제1상륙 사단을 창설하여 수도권 방어 임무를 수행하면서 상륙훈련을 실시하였고, 1959년 3월 28일에는 파주 금촌에서 포항으로 이동하여 상륙작전임무를 본격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1959년 3월 30일, 대통령령 제1468호에 따라 제1상륙 사단으로 개칭하였다가 1973년 10월 10일, 제1해병사단으로 부대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제1사단은 국가 유일의 전략 기동 부대로서 완벽한 출전준비태세를 유지하다가 유사시 동·서해안에 상륙작전을 실시하는 부대로서, 북괴군 5개 군단을 고착,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해병 제1 상륙사단 부대기


▶ 해병대 사령부 서울 용산으로 이전(1955. 3. 26.)

 

1949년 4월 15일 진해에서 창설한 후 6·25 전쟁이 발발 당시 제주도에 주둔하고 있었던 해병대 사령부는 전투부대와 함께 부산 → 인천 → 서울 → 고성 → 원산 → 진해로 이동하다가 1951년 5월 20일에 부산 용두산 공원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이렇듯 싸우면서 자라온 해병대사령부는 휴전 후 서울 용산으로 이동하여 해병대 부대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1956년 6월 준공한 서울 용산의 해병대 사령부 전경


도서부대 창설

 

동해안의 여도, 모도, 사도, 황토도, 웅도, 양도 부대와 서해안의 초도, 석도 부대가 휴전협정에 따라 진해로 철수하여 해병 제2연대의 모체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백령도와 연평도에 주둔했던 서해부대는 계속 잔류하여 서해안의 5개 전략도서 방어 임무를 수행하다가 1954년 3월 17일, 미 해병대가 본국으로 철수함에 따라 도서작전에 대한 작전권을 인수하였습니다.

그 뒤 서해 도서 부대(1955.2.1.), 해병 함대 부대(1958.4.15.), 함대 해병 경비부대(1959. 4. 1.)로 개편되었으며, 1960년 1월 1일부로 해병 도서 경비부대로 증·개편되어 임무를 수행하였다.

 

보급 정비단 창설(1955. 6. 1.)

 

해병대 전 부대에 대한 독자적인 보급 및 정비지원을 위하여 보급 정비창을 보급 정비단으로 개편하였습니다. 이 부대는 각종 보급품의 청구·획득·저장 및 불출하고 해병대 군수물자의 3, 4단계(LVT는 4, 5단계) 정비를 담당하는 전투근무지원 모든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전시 작전부대를 위한 전방 전투 근무지원단을 편성하여 지원 임무를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차량, 공병, 통신, 정비교육과 병참 물자의 생산(LVT 재생) 및 기술검사, 이동정비를 실시하면서 무기, 장비의 폐품처리 등과 같은 업무도 담당하였습니다.

 

▶ 해병 제1상륙 사단 포항으로 이동(1959. 3. 28.)

해병대는 포항에서 주둔하고 있었던 미 해병대 제1비행사단이 귀국함에 따라 1956년 7월 1일, 포항기지를 창설하여 오천 비행장(K-13) 기지를 인수하고 주둔지 경계 및 교육시설을 관리, 유지하면서 포항기지에 예비역 교육대를 설치하여 예비역 해병 입영 근무 소집을 실시하다가, 1958년 4월 15일 해병 포항기지로 개편하였다. 해병 제1상륙 사단은 상륙작전부대로서 체제를 정비하는 한편 상륙작전 및 지상작전 임무를 수행하다가 1959년 3월 28일 파주 금촌에서 포항으로 이동하여 상륙작전 임무를 본격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제1상륙 사단이 포항으로 이동함에 따라 1959년 2월 26일, 제1연대를 기간으로 제1임시 여단을 신 편한 후 김포반도에 계속 주둔케 하여 서부전선 및 수도권 방어를 수행하였습니다.

 

▶ 해병대 베트남 전쟁 파병

 

1965년 8월 13일, 정부와 국회는 북베트남 침략에 직면한 자유 베트남 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을 결정하였습니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파병부대로 제2여단(청룡부대)을 창설하여 우리나라 5천 년 역사상 전투부대로는 최초로 외국 원정군으로 파월하였습니다.

 

캄란에 상륙한 청룡부대는 투이호아지구, 추라이지구, 호이안 지구 전투를 수행하면서, 6년 5개월 동안 짜빈동 작전 등 수많은 전투를 통하여, 조국의 명예와 해병대의 용맹성을 발휘하여 ‘신화를 남긴 해병대’의 전통을 수립하였습니다.

 


한국 해병대 베트남전쟁 이동경로


▶ 청룡부대 창설(1965. 9. 20.)

 

공산군의 위협에 대처하고 있는 자유 우방국으로서 공동 운명체의 사명감을 느껴 동남아시아와 세계의 평화를 수호하는데 기여하고, 6·25 전쟁 시 자유 우방 국가들의 은혜에 보답하며, 자유와 정의를 이룩한다는 사명과 의의를 가지고 5천 년 역사상 처음으로 외국에 전투부대 파병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최초 해병대 1개 여단을 포함한 육군 1개 사단(-1)의 파월을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경북 포항기지에서 제2연대를 기간으로 해병 제2 여단을 창설하여 박정희 대통령 참석 아래 전 국민의 축복과 성원을 보내는 가운데 결단식을 가졌습니다. 제2여단은 미 수송선에 탑승하여 동년 10월 3일, 부산항을 출항하여 10월 9일, 베트남 캄란 만에 도착하였습니다.

 


박정희 대통령 청룡부대기 수여


▶ 캄란 지구 작전(1965. 10. 9. ~ 11. 4.)

 

청룡부대는 캄란 항에 상륙(1965.10. 9.)한 이후 동년 10월 19일부로 미 제101 공정사단 제1여단으로부터 캄란만 일대의 전술 책임지역을 인수하였습니다. 1965년 10월 24일부터 제2대대는 워싱턴 작전을 전개하여 판랑 일대 부손 비행장 전술기지의 확장공사에 따른 방호작전을 수행하였으며, 11월 4일부터는 부손 비행장을 위협하는 까투산의 적을 소탕하는 백경 작전을 실시하여 18년 동안 베트콩의 아성으로 군림하였던 까투산을 탈환하였습니다. 그 뒤 제3대대는 나짱 서북쪽에서 번개 1·2·3호 작전을 수행하여 1번 도로를 위협하는 베트콩을 완전히 소탕하여 적의 위협을 제거함으로써 나트랑 서북쪽 산악지역과 나트랑 비행장을 안전하게 확보하였습니다.


청룡부대 캄란만에 상륙


▶ 투이호아(Tuy Hoa) 지구 작전(1965. 12. 16. ~ 1966. 8. 17.)

나짱 서북쪽에서 번개 작전을 수행하였던 청룡부대는 남베트남 3대 곡창지대 중 하나로서 베트콩의 식량 공급원 지역이었던 ‘투이호아’로 이동한 후 청룡 1호(여단급) 작전을 전개하여 투이호아 평야 지역을 평정하고 봉로 만 일대에서 준동하던 북베트남 정규군과 베트콩 약 1,500명을 정말 소탕한 후 남베트남의 대동맥인 1번 도로를 개척하였습니다.

 

그 뒤 약 1개월 동안 투이호아 서남부 평야에서 주민들과 피난민 추수 보호를 위한 청룡 2호 작전을 실시하였고, 이후에도 양민 보호, 촌락 재건 등을 위한 재건작전을 수행한 뒤 봉로 만 부두시설과 1번 도로 개척을 위한 미 건설 공병부대의 항만 및 교량 건설과 비행장 건설공사를 방호하였습니다.

 

특히 1965년 8월 11일, 귀순자의 첩보에 따라 투이호아 서쪽 14km 지점에서 실시한 기습작전과 적극적인 탐색작전에서 베트콩의 동굴을 탐색하던 청룡부대 제3대대 정보장교 이인호 대위는 선두에서 동굴 탐색을 실시하던 중, 적이 던진 수류탄으로 뒤따르는 부하들이 위험해지자 이를 가슴에 안고 산화하여 부하를 보호함으로써 그의 숭고한 희생정신은 전 국군의 귀감이 되었으며 군인 최고의 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이 추서 되었습니다.


뚜이호아 지역 청룡부대 본부


▶ 추라이(Chu Lai) 지구 작전(1966. 8. 18. ~ 1967. 12. 21.)

북베트남군의 주요한 해상 침투로인 동시에 연합군의 최대 보급기지인 다낭 비행장과 남베트남군 1군단 지역 배후에서 위협하는 적을 제거하기 위하여 추라이지구(쾅 나이 성)로 이동한 청룡부대는 황금, 비봉, 용안, 투망, 강구, 짜빈동, 뇌룡, 용머리, 테로 이매복, 용화 작전 등 수많은 작전을 수행하여 추라이지구 내 전술 책임지역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짜빈동 작전에서 북베트남 정규군 1개 연대의 야간 기습공격을 받고도 육박전, 역습 등을 실시하여 4시간 동안의 사투 끝에 적을 격퇴하여 베트남전 사상 중대 규모로는 최대의 전승 기록을 남겼습니다.

 

▶ 짜빈동 작전(1967. 2. 14. ~ 15.)

짜빈동 작전(1967.2.14.23:20~1967.2.15.07:24)은 청룡부대 제3대대 제11중대가 손티 군 짜빈동에서 북베트남 정규군 제2사단 제1연대 및 지방 게릴라가 인해전술로 파상적인 기습공격을 가해옴에 따라 전술기지의 외곽과 내곽 방어선으로 연하는 교통호를 이용하여 일제 사격과 수류탄 및 크레모아 지뢰를 이용, 침입하는 적을 격퇴하였습니다.

 

한때는 제3소대의 진지 일부가 돌파되어 치열한 진내 육박전까지 전개하였지만 지원화기의 적절한 운용, 역습 부대의 과감한 공격 등으로 4시간의 사투 끝에 적의 주력을 격퇴하고 전술기지를 방어하였다. 이 전투 결과 한국 해병대의 막강한 전투력을 전 세계에 과시하고 ‘신화를 남긴 해병대’라는 전통을 수립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청룡부대 제11중대는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상하였고 제11중대 사병 전원은 일계급 특진의 영예를 얻었습니. 중대장 정경진 대위와 제1소대장 신원배 소위는 군인 최고 명예인 태극무공훈장 수여받았고, 1968년 5월에는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도 수상하였습니다.

 


태극무공훈장을 수훈하는 정경진 11중대장


▶ 호이안(Hoi An) 지구 작전(1967. 12. 22. ~ 1972. 1. 31.)

청룡부대는 미 해병대 제3상륙군과 연합작전을 수행하고 베트남 제2의 전략도시인 다낭과 호이안시를 연결하는 1번 도로를 확보하여 베트남 정부의 통제구역을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라이 지역에서 호이안 지역으로 이동하였습니다.

 

호이안 지구에 도착하자마자 북베트남 정규군 제3사단이 대규모 구정공세를 가해 왔으나 반격작전인 괴룡 작전을 1개월 이상 실시하여 적을 격퇴시켜 호이안 지역은 물론, 다낭 지역을 지향하였던 적의 위협을 제거하였습니다.

 

그 후 전술 책임지역 내 적 섬멸을 위한 용진 작전, 추수 보호작전 등을 전개하였고, 서룡 작전, 포병대대 방어작전, 승룡 작전, 황룡 작전 등을 전개하여 지역 내 적을 대부분 소탕하고 호이안 지역을 평정하였습니다.

 

특히, 승룡 12-1호(고노이 섬) 작전 및 15-1호(베리아 반도 상륙) 작전은 베트남 전투사에 길이 빛날 작전이었습니다.

 


총탄난 철모를 보고 있는 청룡


▶ 고노이 섬(승룡 12-1) 작전(1969. 6. 3. ~ 19.)

청룡부대는 작전 기간 중 다낭 남방 20km 지점에 있는 북베트남군 제36 연대의 난공불락 요새지인 고노이 섬의 적을 소탕하기 위하여 미군과 남베트남군의 지원을 받으며 수륙양면과 공중 등 입체적인 기습공격작전을 감행하여 지역 내 적을 정말 소탕하고 장비(도저 30대)를 이용, 산재한 지하 통로 및 적의 전략적 은거지를 완전히 제거한 작전입니다. 이 작전으로 디엔반 군과 호이안 시는 외곽으로부터 적의 위협을 받지 않고 평온한 상태가 유지되었습니다.

 

▶ 베리아(승룡 15-1) 반도 상륙작전(1969. 9. 5. ~ 30.)

다낭 30km 지점에 위치한 베리아 반도는 북베트남 정규군과 베트콩이 근거지로 이용하여 호이안 지역과 다낭 일대의 군사시설을 위협하던 적의 요새지였습니다. 청룡부대는 인천 상륙작전 이래 처음으로 베트남전 사상 최초로 한·미 해병대가 연합으로 미 제7함대의 지원 하에 여단급 상륙작전(한국 해병대 RLT급, 미 해병대 BLT급)을 감행하여 베리아 반도의 적을 소탕하고 초토화함으로써 적의 지역 사용을 거부하였으며, 억류된 1,900여 명의 양민을 구출하였습니다.

 


베리아반도에 상륙하는 청룡 용사들


▶ 개선 및 파병 결과

베트남전을 평화적으로 종식시키기 위해 열린 파리평화협정이 진행되어 미 대통령인 닉슨이‘베트남 전쟁의 베트남 전화 계획’을 추진하면서 이에 따라 철군 계획을 발표하여 1971년 12월 4일에 제1진이 철수하기 시작하여 1972년 2월 24일, 제5진이 마지막으로 철수하여 2월 29일에 부산항에 도착함에 따라 제2여단(청룡부대)은 개선하여 귀국을 완료하였다. 건군 사상 처음으로 해외 원정군으로 장도에 올랐던 제2여단은 캄란 만에 상륙한 이래 6년 5개월간 여단급 작전 55회와 대대급 작전 106회를 비롯하여 소부대 작전 144,173회를 통해 적 사살 9,688명, 포로 및 귀순 1,321명 등 혁혁한 전과를 올리는 한편, 8,810톤의 구호활동 및 대민 진료, 403,729명에 대한 교육지원, 1,593회 건설 지원, 450,064명의 친선 활동 등 대민 봉사활동을 전개함으로써 3회의 대통령 부대표창을 비롯하여 1회의 미 대통령과 베트남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상하였습니다.

 


부산항 3부두에 개선하는 청룡부대 용사들


▶ 제5해병여단(’ 66. 11. 23)

 

해병대는 제1사단 제2연대를 기간으로 제2여단(청룡부대)을 편성하여 파병한 후 제1사단이 전략 기동예비대로서 임무수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심각한 상태였습니다. 해병대 임무수행능력 보강을 위하여 5,470명의 병력이 보충되어 창설 이후 최초로 30,430명으로 증강된 병력을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해병대는 증강된 병력으로 1966년 11월 14일, 제5연대를 신편 하고 이 부대를 기간으로 1966년 11월 23일, 새로운 전투여단인 제5여단을 창설하여 8년 동안 김포반도에서 휴전선을 지킨 제1임시 여단과 1967년 1월 23일, 부대를 교대함으로써 서부전선 수도권 방어력을 보강하였습니다. 제1임시여단은 수도권방어 임무를 마치고 제1사단으로 복귀함에 따라 제1사단 전투력이 강화되어 전략 기동예비대로서 임무 수행 능력을 완전히 회복하게 되었습니다.

 

▶ 지휘 참모대학(’ 64. 1. 1)

 

1964년 1월 1일에 창설된 해병 참모 지휘 학교는 1967년 7월 1일부로 국본 일명(해) 제9호에 의거, 해병 지휘참모대학으로 개편되어 대학반, 고등군사반을 운영하였습니다. 해병대 위관 및 영관 장교에게 연대급 및 사단급 이상 부대의 지휘관과 참모의 직능 수행에 필요한 지상전 및 상륙작전에 관한 군사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 해병 교육기지사령부 창설(1967.5.16.)

 

재진부대 행정 및 근무지원 임무를 위하여 1959년 2월 5일 국본 일명(해) 제50호에 의거 해병교육단에서 증편된 진해기지는 대통령령 제3070호에 의거, 해병 교육기지사령부로 개편되어 해병대 장병의 각종 특기교육과 장교, 부사관 후보생, 신병에 대한 기초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해병학교, 상륙 전학교, 해병훈련소, 상남 보병 훈련 연대, 수송교육대, 통신 교육대, 사격장 관리대 등을 지휘·관리하였으며, 국방부 훈령 제157호(1973.7.10.)에 의거 교육 기능이 해군교육단에 통합 운영되고 1973년 10월 10일부로 해체되었습니다.

 

▶ 상륙전 기지사령부 창설(1967.5.16.)

 

해병대 포항기지를 기간으로 대통령령 제3071호(1967. 5.16.)에 의거하여 상륙전 기지사령부를 창설하여 포항기지의 경비(전시 1개 RLT편성)를 담당하며, 1971년 7월 1일부로 예비군 훈련연대(제21,22,23연대)를 예속하여 예비역의 동원과 관리,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 전략기동부대 예비대로서 언제든지 출전 가능하도록 준비하며, 상륙전 훈련에 필요한 교장시설 및 수용시설을 관리하였으나, 국방부훈령 제157호(1973.7.10.)에 따라 1973년 9월 1일부로 상륙전기지사령부 임무와 시설 및 제21연대 임무는 해병사단에, 제22연대는 해군 목포 경비부에, 제23연대는 해군 제5해역사에, 제36 특별 대대는 해군 제주 경비부에 각각 인계하고 해체되었습니다.

 

▶ 상남 보병 훈련 연대 창설(1957.1.23.)

 

1957년 1월 23일, 해병훈련소에 상남 야외훈련대를 창설하여 최고의 강한 해병을 양성하는 실전적 야외 교육훈련을 실시하다가 1963년 3월 1일 상남 훈련 연대로 개칭하였습니다. 1971년 7월 1일에는 상남 훈련 연대를 상남 보병 훈련 연대로 개편하였다가 국방부 훈령 제157호(1973. 7.10.)에 따라 해병대 사령부 해체 직전인 1973년 9월 1일부로 상남 보병 훈련 연대가 해체되면서 해군 교육단에 인계되었고, 1977년 1월 1일까지 20년간 20여만 명의 해병대 장병을 양성하였습니다.

 

현 창원시에 있는 상남지역의 34만 평의 부지에 상남 훈련 연대 본부(현 용호동 롯데아파트), 각개전투 및 침투 사격장, 수류탄 교장(현 일동 아파트), 중·소대 전술훈련장(현 반송아파트), 각종 직사·곡사화기 사격장(현 도민 사격장), 벽암지 교육대, 공수 교육대 등 20여 개의 해병대 전술훈련장과 야외 교육훈련장이 산재되어 있었습니다.

 

▶ 해병대 항공부대 창설(’ 58. 3. 1)

 

해병대 항공대는 1958년도에 U-6(L-20) 2대를 최초 도입하여 1958년 3월 1일부로 제1사단 항공 관측대를 금촌 비행장에서 창설하여 처음으로 항공기를 운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62년 5월 31일에는 해병대 항공병과를 창설하여 해병대 조종사가 직접 해병대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각종 훈련 및 작전에 참여하였습니다.

 

1963년 3월 18일에는 제1임시 여단 예하에 항공 관측대가 창설되어 수도권 지역의 항공정찰 임무를 수행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1965년 9월 20일 제2여단 항공대가 창설되어 베트남 파병 기간 중 총 450여 회의 출격을 통해 1,537시간을 비행하며, 근접 항공지원, 탐색 및 정찰, 사탄 유도, 전단 살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여 해병대가 각종 전투에서 승리를 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습니다.

 

1968년에 1·21 사태, 울진·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 시 대간첩 작전에 참가하였던 해병대는 헬리콥터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1969년 2월 해병대 사령부 직할 경비대 예하에 헬기교육대를 여의도 비행장에서 창설 하였고, 1971년 7월 해병대사령부 직할 항공대를 여의도비행장에 창설하였으며, 1972년 7월 성남 신촌리 비행장으로 이전하였습니다.

 

그러나 1973년 10월 10일 해병대 사령부가 해체되어 해군에 통·폐합됨에 따라 약 16년간의 장대했던 역사의 막을 내리게 되었다. 당시 해병대가 보유하고 있던 항공기 12대(고정익 5, 회전익 7)는 모두 해군으로 전환되었고, 1977년도에는 해군 함대항공단이 김해비행장에서 K-3비행장으로 이전하면서 K-3비행장이 통합 되었고, 1978년도에는 해병대 항공병과가 해체되면서 해병대 항공병과 정원 125명(장교 89, 준사관 4, 부사관 32)도 해군에 흡수 통합되었습니다.

 

이후 1987년도에 해병대사령부가 재창설되면서 헬기를 갖고자 하는 많은 노력으로 1994년도와 1995년도에 다목적 헬기(UH-60) 10대를 상륙기동헬기로 도입하였으나 당시 해병대는 운용기반이 없었기 때문에 이를 해군 제6항공 전단 예하에서 운용하게 되었습니다.

 

2012년도에 상륙기동 및 공격헬기 확보와 항공단 창설계획이 반영된 ’ 12~’ 30 국방개혁 기본계획이 승인되어 공지기동 해병대로 도약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되었다. 2014년 9월 12일부로 해병대 항공병과를 창설하여 항공인력을 양성하였고, 2016년도에는 시제기를 개발하여 양산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1년 항공단 창설을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1958년 최초 해병대에 도입된 U-6기


해병대 시련기

 

▶ 해병대 사령부 해체(’ 73.10.10)

 

 

군은 유신과업 수행을 위한 군 본연의 사명을 충실히 완수하고, 전투력 위주로 정비를 강화하여 자주국방 태세를 조속히 확립하며, 국가 자립경제 발전을 위해 경제적으로 군을 관리·운영하기 위하여 대통령 분부 사항 (1973. 5.29.) 및 해병대 운영 개선에 관한 국방부 훈령 제157호(1973.7.10.)에 의거, 해병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전투부대를 제외한 해병대 사령부와 교육 및 지원부대를 해군에 통·폐합시켰습니다.

 

▶ 해병 참모부(’ 73.10.1)

 

국방부 훈령 제157호에 의거하여 해군본부 내 해병 참모부를 편성·운영하여 해군참모총장을 보좌하고 제2참모차장의 지시에 따라 해병대 부대의 상륙작전, 도서방어작전, 교육훈련과 교리 발전에 관한 사항을 분장하였으며, 해병대 사령부 재창설 시까지 해병부대를 실질적으로 지휘 관리하였습니다.

 

▶ 연평부대(1974.9.20.) 및 제6해병여단(1977.1.1.) 창설

 

해군본부 일반명령 제10호에 의거 1974년 3월 11일 해군 도서 경비부대를 해군 도서방어부대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1974년 9월 20일부로 연평도를 경비하던 2중대와 우도 경비소대를 통합하여 해군 도서방어부대 예하부대로 연평부대를 창설하였고, 제6해병여단 예속의 연평부대를 실질적인 지휘가 가능하도록 1996년 1월 1일 해병대 사령부 직할부대로 예속 변경하였으며, 해군 본부 일반명령 제9호에 의거 1977년 1월 1일부로 해군 도서방어부대를 해체하고 제6해병여단을 창설하였습니다. 제6해병여단과 연평부대는 서해 최북단 6개 전략도서를 방어하는 부대로서 적 활동을 감시하며, 경제수역 확장 및 주변 어로작업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 제2해병 훈련단 창설(1977.1.1.)

 

1977년 1월 1일 창설된 제2해병 훈련단은 1987년 11월 1일 해군본부 직할에서 해병대 사령부 예하로 예속 변경되었으며, 1996년 11월 1일 해병대 교육 훈련단으로 개칭하여 교육부대에 적합하도록 일반형 참모 형태에서 부장형 참모 형태로 조직을 개편하였습니다.

 

1998년 3월 1일, 해병대 사관후보생 양성과정을 해군 교육사령부에서 인수하고 장교 교육대를 장교 교육 대대로 개편하여 예하에 장교 초군반 중대와 사관후보생 중대를 편성함으로써 해병대 장교 양성교육을 25년 만에 해병대 주관으로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2002년 3월 1일부로 상륙전 교육대대를 창설하고 상륙전 고군반 교육과정을 해군대학으로부터 인수하였으며, 2004년 4월 1일부로 포병 교육대와 수색 교육대를 신편 하여 현재의 교육체계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교육훈련단 현대화 필요성에 따라 2000년 8월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사업이 추진되어 명실상부한 해병대 양성·보수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제2해병사단 창설(1981.4.16.)

 

해병 제2여단은 1973년 10월 10일 국방부 훈령 제157호에 의거, 제2해병여단으로 부대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1979년 4월 1일 제2포 병단을 창설하고 1981년 4월 15일에 제1연대, 제5연대, 제8연대를 신편 하여 1981년 4월 16일, 해군본부 일반명령 제8호에 의거 제2해병사단을 창설하였습니다.

 

제2사단은 수도권 서측 관문인 김포와 강화도(26개 부속도서 포함)를 방어하며, 유사시 연안 상륙작전을 실시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 해병대 사령부 재창설(’ 87. 11. 1)

 

경제적 군 운용이라는 미명 하에 해병대 사령부 및 교육, 군수지원부대가 해체되어 해군에 14년간 통합 운용된 해병대는 전력 관리의 문제점이 나타나 상륙작전에 관한 지휘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해병대 부대를 통합 지휘할 해병대 사령부를 재창설하였다.


해병대사령부 재창설(1987. 11. 1)


▶ 상륙지원단 창설(1994.4.4.)

1977년 1월 1일부로 제1해병사단 해안 지원단으로 창설되었다가 1994년 4월 4일 해병대 사령부 직할부대인 상륙지원단을 창설하였습니다. 이후 2014년 2월 4일부로 해병대 군수지원단으로 개칭되었다가 2015년 4월 6일부로 해병대 군수단으로 개칭되어 전·평시 해병대 전 부대에 대한 군수지원 전담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해병대사령부 발안으로 이전(’ 94. 4. 6)

해병대 사령부는 재창설된 직후부터 해군본부 부속건물인 기지병원을 개축하여 사용하던 중 재경부대 교외 이전계획(1988. 4.15.)에 의거, 경기도 서해안으로 해병대사령부 이전을 결정하고 52개 지역을 대상으로 33회 검토하여 현 위치인 화성시 봉담읍 형제산 기슭에 사령부를 신축한 후 이전함으로써 해병대의 전통을 계승하고 미래지향적인 해병대 역사를 창조하는 요람지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 연합 해병구성군사령부(CMCC) 창설(2008.2.20.)

한·미 군사위원회 제21차 상설회의 각서(2008. 2.20.)에 따라 연합사의 연합해병 능력의 통합성을 향상하기 위해 창설하였습니다.

 

연합사령부에 대한 주요 변경내용은 창설과 동시에 연합 해병 구성군사령부는 지정된 한국 해병대 부대에 대한 작전통제권을 행사하고, 지정 또는 명시된 미 해병대 부대는 한국 전구에 도착과 동시에 연합 해병 구성군사령부로부터 전구 작전통제 또는 전술통제를 받으며, 정전 시 연합 해병 구성군사령부 사령관은 한국 해병대 사령관이 임무를 수행하면서 전시 지휘권 전환을 위한 발전과 협조를 지원하기 위하여 향후 연합 해병 구성군사령부의 모든 연합사 연습 및 연습계획 발전은 한국 해병대 주도로 실시하고, 전시 연합 해병 구성 군사령관은 미 해병 장성이 수행하여 임무를 계획하고 시행하기 위한 본부를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

 

▶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2011.6.15.)

연평도 포격전(2010.11.23.) 발발 후 정보, 감시자산 및 타격수단이 강화된 강력한 서북도서 전담 방위사령부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백령도, 연평도 등 서해 5도 방어를 전담하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를 창설하였습니다.

 

해병대 사령부를 모체로 정보참모처, 작전참모처, 화력참모처와 항공지원작전본부, 해상지원 작전본부 등 창군 이래 최초로 육·해·공군 전력을 운영하는 합동참모부의 성격으로 편성된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해병대가 주도적 역할을 하는 실질적인 작전사령부로서 합동작전 운용능력을 완벽하게 발휘하고 있습니다.

 

▶ 제9해병여단 창설(2015.12.1.)

1950년 12월 11일, 해군본부 직할부대인 해군 제주기지로 창설되었고 1962년 10월 15일, 육·해·공군 및 해병대가 포함된 통합사령부가 창설되었습니다.

 

1974년 1월 28일에는 지·해상 방어 임무를 수행하도록 육·공군이 해체되고 해병대 장성이 지휘하도록 개편되었으며, 1986년 2월 1일부로 제주 방어사령부로 개편되어 제주해역 및 주변 도서방어 임무를 수행토록 하였습니다.

 

이후 ’ 14~’ 30 국방개혁 기본계획 추진으로 2014년 3월 12일, 국방부 부대 구조 개편 지시에 따라 해병대 제9여단이 창설되어 통합방위작전과 예비군 관리 및 교육훈련 임무 수행으로 남방해역 도서군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지휘관리 개선



1973년 해병대 사령부가 해체된 이후 14년 만인 1987년에 재창설되었으나 지휘권 행사를 위한 법령이 개정되지 않아 여전히 재창설 이전과 같이 해군에 예속된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이에 역대 사령관들은 상부에 문제점을 끊임없이 제기하였고, 예비역들도 전우회를 중심으로 국회 및 청와대에 관련 법령 개정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1차적으로 해병대는 작전지휘체계를 보강하기 위하여 부대령 부대와는 그 위상이 다른 직제령 부대로서 해병대 사령부가 해병대 부대를 지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90년 8월 1일부로 공포된 법률 제4249호 국군조직법과 1990년 9월 29일 공포된 대통령령 재 13113호 해병대 사령부 직제령에 의해 해병대 사령부는 육군의 군사령부나 해·공군의 작전사령부와는 다르게 합참 군령 계선상의 작전사령부이면서 해병대 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을 관장하는 군정 사령부임을 보장하여 해병대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인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휘기능이 보장되지 않아 1993년도에 해병대 지휘관리 개선 연구팀을 발족하여 작전 및 부대 지휘 시 문제점을 해군본부에 건의하였고, 1997년 12월 해군본부와 국방부에 해병대 지휘관리체제 개선위원회가 구성되어 1991년 1월 21일 해병대사령관이 해병대 부대를 지휘하도록 조직 및 정원에 관한 통칙, 해병대 직제령, 군 인사법 시행령, 국방 기획관리 예산 및 군수품 관리, 국방 보고 규정, 군무원 인사관리지침, 예비군 실무편람 등 법령 및 규정을 개정하여 미래전에 대비한 다목적 신속대응군으로서 해병대 위상을 제고하였습니다.

 

해병대는 1·2차 지휘관리 개선을 통해 일부 법률 개정의 성과를 얻었으나 여전히 예산, 전력, 예산분야 등에 관한 실질적인 지휘권이 보장되지 않았다.

 

그런 와중에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전이 발생하여 해병대에 대한 국민적 여론과 국회의 요구에 의해 2011년 1월 14일, 해병대의 인사·예산권을 강화하고 해병대의 주임무를 상륙작전으로 명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해병대 독자적 지휘권 확립 법안이 발의되었고, 2011년 4월 22일과 6월 23일 국회 국방위원회 및 국회 본회를 통과하여 2011년 7월 14일 국군조직법, 군수품 관리법, 군 인사법 등의 개정법률안이 공포되어 2011년 10월 15일부로 시행되어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하는 국군조직법상 육·해·공군과 함께 국군의 한 조직으로 해병대사령관은 인사, 예산, 전력 편성 등 해병대 지휘에 있어 독자적인 지휘권 행사를 법적으로 보장받아 해병대 및 해병대사령관의 위상과 권한이 통·폐합 이전의 수준으로 강화되었습니다.

 

▶ 다목적 신속대응군



해병대는 소수 정예군으로서 임무와 역할이 다양하고 막중하다. 상륙작전, 지상작전, 특화거점방어, FEBA 방어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토방위의 전략적 요충지인 서북도서에는 제6여 단과 연평부대가, 제주도에는 기존의 제주 방어사령부를 해체하고 제9여단을 창설(2016.12.1.)하여 이를 굳건히 방어하고 있다. 21세기 해병대는 현재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면서 미래의 전장환경에 적합한 다목적 신속대응군으로서 고강도 전면전으로부터 전쟁 이외의 군사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무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시 전투 준비가 완료된(Force in readines) 모습을 갖추어야 한다. 장차 전의 양상은 해상을 통한 전력투사로 연안지역 중심의 작전이 전개될 것이다. 따라서 장차전의 양상에 대비하여 해상 및 공중을 통한 입체적 상륙돌격, 연안 도시지역 작전, 초수평선 입체 기동 상륙작전, 전략도서 및 전략기지 방어 작전 등의 교리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해병대 관련 표어


▶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표어는 미 해병대의 ‘Once a Marine, Always a Marine’에서 한국전쟁시 유래한 것으로? 한국 해병대가 57년간 사용해 온 우리의 것이다.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자유 우방국가의 모든 해병대가 임무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평화의 선봉군으로 갖는 이 표어에 대한 긍지는 그 어느 것보다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해병대의 특성을 대변하는 상징 문구로서 해병대의 일원으로서 자부심과 긍지, 명예심을 잊지 말라는 뜻으로 이것 이상으로 해병대 의식 구조를 대변할 수 있는 것은 없다. 1987년부터 ‘해병대 정신’의 표어로 사용되고 있는 이것은 현역·예비역은 물론 일반 국민들까지도 ‘해병대’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문구로서 애칭 되고 있다.

 

▶ 귀신 잡는 해병대

낙동강 전선의 피아가 대치된 상황에서 한국 해병대 김성은 부대(1개 대대)는 진동리 서방 고사리 지구 섬멸전에서 6. 25 이후 파죽지세로 침공해 온 북괴군의 예봉을 꺾고 침공을 저지함으로써, 국군 최초의 큰 전과를 획득하였다. ‘50. 8. 5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전장병 1계급 특진의 영예를 획득한 뒤, 통영 상륙작전에서 ‘50. 8. 17 - 9. 11간 한국 최초로 단독 상륙 작전을 감행하여 적을 완전 격멸하자, ‘50년 8월 23일 통영상륙 작전에 대한 취재차 원문고개로 해병대(김성은 부대)를 방문한 미 『뉴욕 헤럴드 트리뷴』기자【마가렛트 히킨즈】는 해병대가 통영에서 거둔 전과처럼 기습적인 양동 상륙 작전으로 우세한 적군(북괴군 7사단 600여 명)을 공격해서 적의 점령지를 탈환한 예는 일찍이 없었다는 사실을 높이 평가하고, ‘귀신 잡는 해병대’의 표제 아래 취제 기사를 널리 보도함으로써, ‘귀신잡는 해병대’란 말의 씨를 뿌려 놓은 계기가 되었으며, 이 전공으로 국방부 장관의 표창이 수여되었다

 

.▶ 무적해병

51년 6월 초 국군과 유엔군이 중공군의 춘계 공세를 격퇴한 뒤 캔자스(KANSAS) 선으로 진격하고 있을 때? 한국 해병대 제1 연대가 중동부 산악 지역의 태백산맥에서 가장 험준한 전략적 요충지인 도솔산을 점령하였다. 이 전투에서 미 해병대 제5연대가 1차 공격을 하였으나 실패하고, 한국 해병대가 임무를 교대하여 ‘51. 6. 4 ∼ 6. 20간 천연 요새인 난공불락의 진지를 돌파하여, 피와 땀으로 혈전 17일간의 끈질긴 공격 끝에 적 1개 연대 규모를 격멸하고, 24개 고지를 탈취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해병대 공훈을 치하하기 위하여 ‘51년 이승만 대통령은 국방부 장관 및 미 8군 사령관을 대동하고 해병대 제1연대를 방문, 부대 표창장과 감사장을 수여하면서 격려사를 통하여 아 해병대를 ‘무적 해병대’라 칭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무적 해병’ 휘호를 하달하였다.

 

▶ 신화를 남긴 해병대

 

해병대는 월남의 공산세력을 분쇄하고, 영원한 세계평화를 성취하겠다는 사명으로 건군 사상 최초로 해외 원정하는 전투부대의 선진으로 청룡부대를 1965년 10월 9일 【캄란】만에 상륙시켰다. 해병대 제2여단 (청룡부대)은 【캄판】【판랑】【나짱】방어전을 수행한 후, 1966년 9월 19일 【추라이】로 이동하여 작전임무 수행 중 월맹 정규군 제2사단 1 연대와 21 연대 및 지방 게릴라 1개 대대가 1967년 2월 14일 23시 0분에 손 틴군 짜빈동에 위치한 청룡부대 3대대 11중대에 인해전술로 파상적인 기습공격을 가해왔으나, 해병 제11중대는 중대 전술 기지를 사수하면서 수류탄, 크레모아, 지원화기의 적시 적절한 운영, 역습 부대의 과감한 공격과 육박전으로 4시간의 사투 끝에 적 사살 243명의 대전과를 획득하였고, 중대 병력으로 막강한 적의 대부대를 저지 섬멸한 쾌거는 월남전 사상 유례없는 대첩이었으며, 해병대의 용감성을 전 세계에 과시하였다. 작전지역을 방문한 미 해병대 제3상륙 군단장 월드 중장은 ‘내가 월맹 전에서 처음 보는 전과다. 전장병의 용감성은 우방 군의 귀감이다’라고 격찬하였으며 외신기자들이 ‘신화를 남긴 해병대’라는 표제 하에 대장(정경진 대위), 소대장(신원배 소위)은 최고의 훈장인 태극 무공훈장을 받는 한편 유공장병들도 국내외 많은 훈장을 받았다.

 

▶ 최강부대 해병대

 

창설 당시 신현준 초대 사령관은 훈시를 통해 ‘해병대는 일치단결하여 온갖 고난과 역경을 이겨, 유사시에 대비한 최강의 부대가 되도록 교육훈련에 정진하자’고 역설하였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해병대는 『귀신 잡는 해병대』,『무적해병』의 전통을 수립하였고, 1951. 8. 30 펀치볼 작전의 일환으로 실시된 일명 김일성(924) 고지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이승만 대통령은 이 전투를 『神人이 경찬한 공훈』이라고 격찬함으로써 해병대가 최강부대임을 증명시켰다. 또한 1953년 3월 24일 미 8군 사령관 테일러 중장이 진해 해병기지 방문 시 해병대 창설 4주년을 맞이한 해병대에 대한 격려사에 ‘최강부대’라는 칭호를 준 것이 유래가 되었다.

 

▶ 무에서 유를 창조

 

해상으로부터 적진에 돌격을 감행하여 해안두보(海岸頭堡)라는 실지 영을 확보하여 무(無)의 상태에서 병력과 장비, 물자를 축적하여 유(有)를 창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상륙작전의 특수성과 초창기의 불비한 조건과 환경 속에서 최강 해병을 만들겠다는 의지 하나만으로 창설했다는 해병대 역사 속에서 유래된 것으로 해병대 특유의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정신을 나타내는 말이다.

 

▶ 해병혼

 

해병대 정신의 근저(根底)가 되는 해병 혼은 바로 ‘필승의 신념’으로 승리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동시에 승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뜻하는 것이다. 이는 해병대의 핵심가치이자 정신 체계를 상징한다.

 

▶ 안되면 될 때까지

‘안되면 될 때까지’라는 표어는 해병대가 창설 이후 열악한 환경과 조건을 극복하면서 6 · 25 전쟁과 베트남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불패의 신화를 이룩하며 만들어낸 표어이다. 해병대는 부여된 임무는 반드시 완수하고 만다는 사명감과 특유의 강한 충성심으로 지금까지 제시된 목표를 한 번도 완수하지 못한 적이 없는 불굴의 정신을 가진 부대이다. 이 표어는 해병대 중에서도 가장 강한 훈련을 받는다는 해병대 수색대의 표어로 활용되어 왔으나 지금은 해병대의 임무 완수 정신을 상징하는 표어로 사용되고 있다.

 

▶ 국민과 함께 해병대와 함께 국민과 함께하는 해병대라는 표어는 해병대 창설 50주년을 맞이하여 창설된 표어로 당시 해병대는 전 부대 장병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민과 함께! 해병대와 함께"라는 표어를 제작하였다. 이후 해병대는 헌신적인 대민지원과 철저한 임무 완수를 통해 "국민에게는 신뢰와 사랑을 받고, 적에게는 전율과 공포를 주는 부대"로 더욱 발전하여 대한민국 최정예 군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 누구나 해병이 될 수 있다면 나는 결코 해병대를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 표어는 100% 지원자로 구성되는 해병대의 강한 자부심을 표현하는 용어로 해병대 특유의 교육훈련, 전우애, 충성심 등에서 우러나온 표어이다. 또한 타군과 차별화되는 해병대의 명예와 전통 속에서 자기 자신이 해병대의 일원임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마음을 상징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정의와 역할

해병대, Marine Corps) 혹은 해군 육전대는 국가에 따라 정의와 역할이 다르지만, 보편적으로 해군 소속의 지상군 부대를 말합니다. 주로 상륙이나 해안 경계와 같은 임무를 맡습니다.

규모가 작은 대부분의 해병대는 보병부대로만 편성하고 나머지는 육해공군으로부터 지원을 받지만, 미 해병대나 한국 해병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육전대, 러시아 해군 보병대 같이 규모가 있는 해병대는 기갑, 포병, 공병, 항공 대등을 모두 운영합니다.

대부분의 해병대는 해군 산하 부대로 편성되지만, 미국은 20만 명 정도의 대규모 조직이기 때문에 육군·해군·공군 다음의 4군처럼 운용합니다.

(그렇다고 4군이란 것은 아니며, 미군이 4군 운용이란 말은 해병대가 아닌 해안경비대를 범주안에 넣는 것입니다.)

상륙작전 자체가 해군의 작전인 만큼, 해군 소속인 해병대가 상륙전을 담당하는 것으로 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육군이 상륙전을 담당하는 경우 역시 많습니다. 독일군, 자위대, 이탈리아군, 프랑스군, 이스라엘군, 호주군 , 이집트군, 폴란드군, 말레시아군, 캐나다군, 싱가포르군, 이 그런 경우입니다. 배를 가지고 있는 해군에 상륙전 부대가 있어야 할거 같은데 왜 육군에 상륙전 부대가 있는지 이상해 보일 수 있지만, 비행기를 가진 공군보다 육군에 공수부대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과 같은 이치라고 볼 수 있고 고정관념에 의한 편견이기도 합니다. 그 논리대로라면 지상전을 펼치는 상륙 전병력이 해군에 있는 것 자체가 이상한 것이고 항공모함에 있는 전투기들이 해군 소속인 전투기인 것도 이상하다고 보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군에 해병대가 있는 국가의 경우 러시아의 영향을 많이 받은 국가들을 제외하면, 대한민국 해병대가 그렇듯이 결국 해병대가 해군 내에서 반쯤 독립해 겉돌고 있습니다.

(겉돌고 있다...라는 말이 자신들이 자초했지 해군은 해병대를 독립시킬 생각 자체가 없다는). 상륙전도 지상전인 만큼 육군도 분명히 상륙전에 필요한 함선들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군 역시 과거에 해병대를 해체하고, 육군 상륙 사단을 일시적으로 창설했던 적이 있었다. 1967년에 육군은 기존의 사단들 중에 3개 사단을 지정하여 특정한 작전에 특화된 사단으로 전문화시키자는 육군 사단 특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준비하였습니다. 드디어 1968년 1월 23일부로 육군 2사단을 산악사단으로, 제5보병사단을 공수사단으로, 11사단을 상륙 사단으로 전환시켰습니다. 하지만 이 3개의 특화 사단 체제가 오래가진 못했는데, 최대 규모의 공비 사건인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이후 이에 관련된 지휘관들에 대한 평가, 문책과 향후 대간첩작전 대비 개선책 마련에 군 수뇌부의 모든 신경이 쏠리는 바람에 특화 사단 운용쪽엔 예산과 관심이 뜸해졌고, 결국 특화사단 유지를 포기하고 일반 사단으로 원위치됐습니다.

해병의 영어 단어인 'Marine'은 비영어권 유럽 본토 국가들에선 "해군" 혹은 "바다"라는 뜻입니다. 만화 원피스에서도 그런 유럽 본토식 군사 용어를 택해서 해군 수병들이 'MARINE'이라고 적힌 모자를 쓰고 있습니다.

반면 영·미 문화권에서는 해군은 'Navy'로 호칭하고 해안 상륙과 긴급 전개를 주목적으로 하는 해군 산하의 육상 전투부대는 'Marines'라고 구별해서 호칭합니다.

북한과  중국, 대만, 베트남 등에선 해군(海軍)의 병(兵)을 '해병'이라고 부른다. 즉 그 나라들에선 한국으로 치면 해군의 수병에 해당하는 군인들이 해병인 것입니다. 이 때문에 한국의 언론이나 인터넷 군사 관련 게시판들에서 북한, 중국, 대만, 베트남의 해군 수병을 '해병'이라는 단어가 같다는 이유로 해병대원이라고 잘못 번역해서 군 알못 인증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군대를 몰라서가 아니라 외국어를 몰라서 아닌가 참고로, 한국인이 해병대라고 부르는 군대와 그나마 비슷한 부대를 이 나라들에서 굳이 찾자면, 북한에선 해군의 경보병 부대 역할을 하는 해상저격여단이 있고, 중국과 대만에는 해군 육전대가 있습니다.

상기 언급된 Navy, Marine과 마찬가지로, 해병대의 한자 海兵隊를 아무리 본다 한들 한자 뜻풀이로는 해군(海軍)과 다른 점을 찾을 수 없습니다.

국내에서 흔히 귀신 잡는 해병대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역사

최초로 해병대를 창설한 나라인 스페인 (1537년)에서 일반 수병과 육전 수병의 구분을 위해서 따로 호칭이 생긴 듯합니다(해군은 Armada, 해병은 Infantería de Marina). 러시아처럼 명칭은 해군 보병대(Naval Infantry)로 다르게 붙이는 경우도 있으나 임무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 영문 위키의 경우 Naval Infantry를 검색하면 Marine으로 페이지가 옮겨간 것 같습니다. 위의 스페인 어 명칭도 직역하면 '해상 보병'입니다.

옛날부터 해병대 내지 해군 육전대의 본 임무 중 하나는 해안선 방어였습니다. 군항이 있는 해안 요새에 들어가던 육군들이 해병대의 기원이며  스페인 무적함대 소속 육전 수병들은 육군에서 포술, 창술, 기마술 등의 훈련을 받아서, 함정을 운용하는 보통 수병들과 차별화되었습니다.

제일 초창기 해병대의 원래의 목적은 범선 시대에 평상시에는 배 안에서 헌병 같은 역할을 하고, 전투가 벌어지면 근접 전투시 머스킷과 칼을 들고 적선에 올라 백병전을 벌이는 것과 해안에 상륙하여 작전을 벌이는 것이 임무인 부대였고( 러셀 크로우 주연의  영화 마트터 엔드 커멘더에서 그리고 캐리비안 해적에서 영국 육군과 비슷한 빨간 옷을 입고 있는 장병들이 해병대원들이다. 남들이 덥다고 웃통 벗고 반바지 차림일 때 그 제복을 갖춰 입는 걸 보면 그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후 규모와 임무가 증가하며 수륙양용 작전까지 포괄하는 근대적 군대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원래 육군의 보병연대에서 병력을 파견받아 배에 배치했으나 수요가 늘어나자 나중엔 육군 병력의 일부를 아예 해군 산하로 넣어버린 것이 해병대가 된 것이기에 육군의 레드 코트와 거의 유사한 제복을 한동안 입었습니다.

범선 시절에는 승선 장교만이 제대로 된 대우를 받았고, 수병들의 대접은 거의 노예와 다름없었습니다.

장교는 그나마 제대로 된 음식을 먹는 반면 수병은 썩은 음식을 먹으며 몇 달간 항해하는 일이 잦았고, 특히 함장의 항해술이나 지휘력에 문제가 있으면 이렇게 반노 예취급을 받는 수병(Seaman)들에 의한 선상반란(Mutiny)이 자주 일어났기 때문에 이런 위협으로부터 장교들을 보호하고 함 내에서 헌병 역할을 할 해병(Marine)의 존재가 필수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선상반란의 우려 때문에 대부분 유럽 국가의 범선 병기고는 해병이 지키고 있는 장교용 선실을 꼭 거쳐야 닿을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전투 시에는 갑판 전투원들이 전투를 피해 함내로 도주하지 못하도록 출입구당 1명씩 배치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이들은 전투시에는 갑판에서의 전투를 위한 총격전 및 승선조(Boarding Party)의 핵심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일반 수병들과는 다르게 육군에서 충원받았습니다. 범선 시대에는 상륙을 통한 교두보 확보 등을 별도로 승선한 육군 병력이 없을 경우 개별 함정이나 함대에서 자체적으로 육전대를 편성해 해결해야 했는데, 당연히 해병들은 거의 총원 수병들 일부와 함께 차출되었습니다.

그래서 수병들보다 더 엄격한 군기가 강요됐고, 물론 이게 지나쳐서 해병들도 반란에 적극 가담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함의 운용과 관련된 당직을 안 서는 등을 제외하면 딱히 수병들에 비해 뭔가 나은 대우는 없었기 때문(하사관이 되기도 수병보다 힘들어서 일부 해병들은 도중에 수병으로 신분을 전환하기도 했습니다.)이다. 그나마 군기가 상대적으로 문란한 수병들보다는 힘들다는 자부심 하나로 수병들에 대한 우월감을 느끼도록 했으며, 이것이 해병대원들의 몇 안 되는 동기부여였습니다.


 국가별 해병대


네덜란드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

미 해병대

영국 해병대

 

일본 수륙기동단



일본 수륙기동단- 육상자위대 소속이다. 해상자위대는 각 섬에 레이더 부대인 경비소를 운영합니다. 해안선 방어는 어차피 해상자위대가 아닌 해상보안청 이 있긴 합니다. 아무래도 소련군이나 중국 인민 해방군 그리고 현대의 러시아 등의 대규모 침공이 가능해서 인원이 많은 육상자위대가 맡는 듯합니다.

다만 현재 함선 및 상륙정 등은 해상자위대의 지원을 받고 있는 상태이며 수륙기동단 전용 육상자위대 소속 상륙정 도입 또한 검토되고 있습니다. 수륙기동단을 공식 창설하기 전에는 육상자위대 서부 방면대 직할직할 보통과 연대가 이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구 일본 해군은 1871년 영국 해군의 Royal Marines를 본떠 새로운 서구식 부대를 창설하고, 이 신식 군대의 이름으로 海兵隊(해병대)라는 신조어를 채택했습니다. 창설 초기 일본 해병대는 적 함정에 강제 승선하여 함상 전투를 벌이는 부대였으나 창설 당시에는 이미 현대적인 해전에서 함상 전투가 쓸모없었진 상태였기 때문에 1876년 해병대를 해체하고 해병 군악대만 군악 과로 유지되었습니다.

해병대 해체 이후 해군에는 함상 근무 수병들로 임시 편성되는 해군 육전대가 육상전투를 담당했고, 이후 근대적인 해군기지가 건설되면서 1886년 육상 근무 수병들로 구성되어 해군기지와 함정을 경비하는 상시 편성 육상 경비부대인 특별 육전대가 편성되었습니다. 육전대와 특별 육전대는 러일전쟁, 제1차 세계대전 등에 참전하여 육상전투, 재외공관 경비 등을 담당했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육전대, 특별 육전대에 각종 도서 수비대와 경비대가 잇달아 창설되었으며, 독자적인 공정부대와 전차부대도 보유했습니다. 종전 직전에는 해군의 각종 육상전투 병력이 10만 명에 달했다가 종전 후 모두 해체되었습니다.

이후 자위대로 넘어가면서 서부 방면대 보통과 연대가 소규모 해병대 역할을 맡다가 이후에 수륙기동단으로 확장되었고 꾸준히 미 해병대랑 합동훈련을 하고 있습니다. 오스프리를 포함한 장비들을 도입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밀어주는 부대입니다.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육전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육전대: 인민해방군도 상륙작전을 펼치는 육군 상륙 사단을 두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육군 감축정책에 따라 이들을 육군 해안 방어사 단과 함께 해군 육전대로 전환시키고 있습니다.

중화민국 해군 육전대
꼭 상륙작전이 아니더라도 육상기지의 경비 등을 위한 해군에 딸린 보병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실제로 해병대라는 명칭을 안 쓰더라도 비슷한 조직은 각국의 해군이 대부분 가지고 있습니다.


 

러시아 해병대


 


러시아 해군에는 표트르 대재 시절 창설되어 이어지고 있는 해군 보병대의 기능이 타국의 해병대에 해당합니다.

초창기에는 일반 해군들과 동등한 복장에 육산 전을 위한 장비 난 착용했으며, 독소전쟁의 여러 전투에서 용맹을 떨쳐 독일군 측으로부터 "흑사병(Black Death)"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합니다. 이들이 참가한 전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 세바스토폴 공방전, 케르치 반도 상륙작전, 스탈린 그라드 전투 등이며, 보병보다 전차가 많다 싶을 정도로 인명피해가 막심했던 지상군에게 든든한 지원세력이 되어줬고, 유명한 저격수 바실리 자이체프 등 적지 않은 수의 소비에트 연방 영웅이이 배출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후반기부터 육군의 전투복을 받은 부차 물만 바뀌 착용한 모습이 일반적이게 되었고, 1963년에 독자적인 검정생의 전투복과 검은색 베레모를 새로 채용했다가 1983년부터 위장복을 입게 되었다. 구형 검은색 전투복은 행사복으로 존속되는 대신 검은색 베레모만을 위장복에도 계속 착용, 검은 베레모는 러시아 해군 보병의보병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또 한, 러시아 공수부대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는텔냐시카역시 이들이 원조입니다. 또한 러시아 해군의 스페트나츠 부대인 코만도 프로그맨 부대 역시 해군 보병대에 속합니다. 냉전  이후 해군 보병들은 체첸 전쟁 및 소말리아/해적제압 임무에서도 러시아 연방 영웅이 배출되었으며, 시리아 등지의 외국 항구를 빌려 쓰는 러시아 해군기지가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리스트들의 영향권에 들자 대테러부대의 임무 또한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육상 전을 주로 치르는 특성상 러시아 해군에서 따로 육군식 계급체계를 쓰는 4개 병과에 속합니다. 나머지는 항공, 의무, 법무 병과로, 이 계열의 장교들은 해군 정복에 수장을 달지 않습니다.


영국 해병대





영국 해병대는 1943년 이후로 기존의 보병부대들을 코만도 부대로 전환시켜서 결국 영국 해병대의 대부분이 코만도 부대로 전환되었습니다. 다만그린배레 같은 완전한 특수부대는 아니고, 미 육군 레인저 부대처럼 특수작전 수행 능력을 어느 정도 갖춘 정예 경보병 부대에 가깝습니다.

중국과 대만에도 각각 소련 해군 보병대와 초기 영국 해병대 국공내전 이후 미 해병대의 영향을 받은 해군 육전대가 있습니다. 중국 해군 육전대의 목적은 대만 수복이 아니라 남중국해의 여러 군소 도서를 경비하고 유사시 탈환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규모 운용이 아니라 2개 여단급에 불과하다.  1980년대 창설되었다고 합니다.

대만 해군 육전대의 경우 국공내전부터 영국 해병대의 영향을 받아서 해군 경비인력에서 출발하여 군벌 형태로 따로 놀다가 국공내전 이후이후 타이완으로 쫓겨난 뒤에 당연히 '본토 수복'이 목적이었지만, 대만군 전체의 문제인 돈이 있어도 정치적 압력 때문에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등의 슬픈 상황에상황에 현실적인 문제, 양안관계의 개선 등으로 대만 해군 육전대의 임무는 '본토 수복'에서 '기동 방어'로 바뀌었습니다. 전략의 수정으로 인하여 대만에서의 해군 육전대는 현재 수도방위의 핵심부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소련/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양안의 UDT 부대는 육전대에 속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해군 산마르코 해병 여단은 임무별로 여단본부와 3개 연대, 직할대로 구성되는데 1 연대는 상륙작전, 2 연대는 해상 차단 및 검문검색 작전, 3 연대는 해군 시설경비 및 의장대, 군악대 등을 담당하며 편제상 3연대 인원이 제일 많다. 그 외 상륙정 및 장비를 운용하는 직할대와 교육대대 구성되어있습니다. 또한 스페인 해병대와 SIAF(spanish italian amphibious force)를 구성하여 나토 신속대응군 및 유럽 신속대응 전투단으로 연합작전을 하게 됩니다. 육군에도 라구나리 연대가 해병대로 편제되어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해병대는 역시 미 해병대입니다.
해외의 미국 대사관들 중에 중동지역 등 테러 가능성 등 위험성이 높은 국가에 있는 미 대사관 경비는 미 해병대 소속 대사관 경비대가 책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동 등에서 현지 치안이 매우 불안한 경우에는 항상 M240 기관총 같은 중화기로 무장하며 개인화기도 실탄을 지급받고 경비 임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반미 시위 발생 시 시위 진압을 할 수 있는 진압 방패 같은 비살상무기를 보유하며 시위 진압법을 꾸준히 훈련받고 있습니다. 다만 지휘는 해병대 자체에서 하는 게 아니라 국무부 DSS 소속인 해당 대사관의 지역 보안담당관(Regional Security Officer)의 지휘/명령을 받습니다.
이상은 테러 가능성이 높은 위험한 국가들에서 그렇다는 것이고, 한국을 비롯해 치안이 좋은 미국의 동맹국들에서는 그 나라 경찰이 대사관 경비를 맡습니다.

한국에서는 미 해병대가 미국 대통령의 친위부대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잘못된 썰이 널리 퍼져 있습니다. 미국 대통령이 국방부와 국회의 승인 없이 직접 부릴 수 있는 해병대 인원은 본부 군악대와 의장대, 해병대 제1헬기 비행대대, 백악관 지원 업무를 맡고 있는 백악관 근무 병력에만 국한됩니다. 게다가 이렇게 대통령이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이런 백악관 지원 병력은 해병대뿐 아니라 육군,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에도 다 있습니다. 이외에도 대통령이 거주하는 수도인위싱턴 DC에 대규모의 해군 조선소(Navy Yard)가 있고 부통령 관저도 이곳 내의 해군 천문대 부지에 있습니다. 그리고 백악관 인근에 육군, 해군, 공군과 해병대 파견 병력이 배치되어 있으며, 대통령 전용기 가공 군 1호기입니다.

 

미 해병대와 대한민국 해병대는 각각 따로 내용을 정리하여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