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밀리터리 마니아입니다.

오늘은 잠수함에 관하여 이야기해드릴까 합니다. 

1번째로 잠수함에 역사에 관하여 소개해 드리고 

잠수함에 변천사에 관해 이야기해 드리겠습니다.

 

 

 


최초의 잠수함(잠 항정)은 네덜란드 C. 드레벨이 발명하였습니다. 목재로 된 선체에 수피를 씌워서 노를 젓게 되어 있었으며, 1620~1624년에 수차례 템스강에서, 약 3m 깊이를 잠항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처음으로 전투에 사용한 잠수함은 1776년 미국 독립전쟁 때 뉴욕항에서 영국 군함을 공격한 독립군의 터틀(Turtle) 이리라 불리었습니다. 그 후 미국의 남북전쟁에서도 남군이 잠 항정·반 잠정으로 북군의 군함 수척에게 손해를 입혔고 근대 잠수함의 발달은 축전지·전동기·내연기관·강철 등의 개발과 발달 및 잠망경의 실용화와 어뢰의 발달에 의해서 이루어졌습니다. 19세기 말, 가솔린 기관과 축전지로 추진되고 어뢰 발사관을 장비한 최초의 근대 잠수함이라 할 수 있는 미국의 홀랜드호()가 출현하여 영국·러시아·일본 등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채용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수상배수량 약 100t, 수상속력 8kn, 수중속력 7kn였으나 항양 성이 없고, 잠항 성능도 보잘것없어 실용할 정도는 아녔습니다.

 

그 후 디젤기관이 출현하면서 잠수함은 점차 대형화하고, 연안용으로 실용화하기 시작하였으며,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비약적인 발달을 이룩하였습니다. 특히 제1차 세계대전 중 대서양 연안을 봉쇄당한 독일은 대량의 잠수함을 건조하여 연합군의 수송로 파괴에 사용하였으며, 크기·무장·속력·항속력을 크게 향상해, 안전성과 신뢰성에서 수상함과 대등하게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제2차 세계대전까지 각국 잠수함은 거의 모두 독일형이었습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직전 잠수함에서도 수중 속력과 수중 항속력에 있어서는, 제1차 세계대전 수준인 8kn로 1시간 항속할 정도를 벗어나지 못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도 잠수함의 개량과 건조 및 사용의 중심은 독일이었습니다. 그러나 1943년 이후 연합군의 대잠 정책 강화에 따라서 활동이 제약받게 되어, 스노클을 고안하였고, 수중 고속함 ⅩⅩⅠ형(1,600t, 수중속력 16kn)과 ⅩⅩⅢ형(232t, 수중속력 12.5kn)을 양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다시 과산화수소를 연료로 하는 월터식 터빈을 실현시켜, 수중속력 25kn로 5~6시간 잠항할 수 있는 신형 잠수함을 만드는 데 성공하였으나 모두 실용화하지 못하였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잠수함에 대한 개발 연구는 미국이 중심이었고, 특히 원자력 잠수함의 출현으로 잠수함의 성능은 일신되었습니다.

 

잠수함의 용도



제1·2차 세계대전을 통해서 잠수함의 주임무- 어뢰를 사용해서 적군함을 침몰시키거나 상선을 공격해서 통상을 방해하는 데 있었습니다. 특히 대서양에서 연합국 측 선단에 대한 독일군 잠수 함단의 집단적인 동시 공격은 ‘늑대 작전’이라 하여 규모·전과에 있어서 매우 큰 것이었습니다.

 

주로 야간에, 해상으로 떠올라서 어뢰 공격의 방법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중기부터 연합군 측이 레이더·항공기를 개량하여 그것을 대잠작전에 사용함에 따라, 잠수잠 작전의 양상이 크게 변하게 되어, 수중 고속 잠수함이 필요하게 되었고, 독일은 그것을 개발하였으나 실용하지 못한 채 종전을 맞이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주임무 외에 기뢰 부설·연안 포격·초계·색적·정찰, 적에게 제공 및 제해를 받을 때 은밀 수송·기습 양륙·연락, 잠수함·비행정에 대한 해상보급, 불시착 승무원 구조, 기상 관측, 소형 잠수정·인간어뢰 등의 특수 공격대의 수송과 발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원자력 잠수함의 완성을 비롯하여 유도 및 탄도미사일 ·레이더·소나 등의 발달, 수중 능력의 비약적인 향상, 잠수함의 무음 성 강화 등에 따라서 오늘날은 어뢰 공격 외에도, 대잠작전, 레이더 초계, 유도미사일에 의한 함선 및 지상공격, 탄도미사일에 의한 전략목표 공격, 상륙전의 지원, 기상 및 해양의 조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잠수함의 구조와 원리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선체는 최대 잠 항심도에서 수압에 견딜 수 있는 내압성이 강한 내각과 비교적 엷은 철판으로 된 비 내압성의 외각이 2중으로 되어 있고, 내각과 외각 사이에 해수를 주배수(注排水) 하기 위한벨러스탱크(ballasttank)나 연료탱크를 설치합니다. 그러나 소형함에는 선체가 한 겹의 내압 선각이고, 내부에 밸러스트 탱크를 설치한 것도 있습니다. 전자를 복각형, 후자를 단 각형이라고 한다. 중형 잠수함에는 밸러스트 탱크의 일부를 내각 안에, 일부를 외각에 설치한 것이 있으며 이것을 반 각형이라고 합니다.

 

내압 선각은 내압강도를 높이기 위해 통상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타원형으로 된 것도 있으며, 강제의 두께는 제2차 세계대전시에는 100~150mm였으나, 최근에는 200~350mm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잠수함의 잠항이나 부상은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채우거나 배수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보통 경계상태에서 항행할 때는 밸러스트 탱크의 주수 밸브를 열어놓으므로, 해수는 항상 탱크에 출입하고 있는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탱크 상부에 있는 벤트 밸브만 열면 해수는 즉시 탱크를 채워, 그 무게에 의해서 함이 잠몰하게 됩니다.



부상 시에는 이와 반대로 압축공기를 이용해 밸러스트 탱크 내의 해수를 뽑아냄으로써 부력을 증가시킵니다. 잠수함의 조타장치에는 보통 함선의 것과 마찬가지의 선회용 수지가 외에 수 평타를 앞뒤에 장치하고 있습니다. 앞쪽에 있는 것을 잠 타라 하며 주로 심도를 조종하고, 뒤쪽의 것은 횡타라 하며 주로 종경사를 통제합니다. 추진기관으로서는, 디젤기관과 축전지를 사용할 경우, 종전에는 일반적으로 디젤기관과 전동기의 추진축을 클러치로 연결시켰으나 최근에는 디젤기관에 발전기를 직접 연결하여 수상에서도 전기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잠수함의 모양도 높게 젖혀져 있던 함수를 낮고 둥글게 하고, 외부에 부착되어 있던 돌 기물을 없애고, 함교를 유선 화하여 비행선 모양으로 한, 누적형이 실용화되었습니다.

 

어뢰 발사관에서 어뢰를 발사할 때는 함 내 탱크로부터 해수를 뽑아내 어뢰와 발사관 사이의 틈에 채운 뒤 발사관의 앞 뚜껑을 열어서 발사하며, 발사 후에는 어뢰의 부량만큼의 해수를 급히 채웁니다.

발사에는 일반적으로 압축공기가 사용되며 발사 시에 기포가 생기지 않게 하는 장치가 되어 있다. 발사 제원도, 종래에는 함장의 잠망경을 통한 관측만으로 경험에 의해서 산출되었으나 근래에는 소나의 발달에 따라서, 수중에 잠항한 채 제원의 산출과 어뢰의 발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실용되고 있는 잠수함은 500~7,000t의 여러 크기가 있으며, 재래식은 수상 속력 10~18kn, 수중속력 15~17kn 내외였으나, 원자력 잠수함은 수상 속력 15~25kn, 수중속력 25~35kn를 냅니다. 1995년 3월에는 미국 해군이 ‘소리 안 나는 잠수함’이라 하여, 음향탐지기로도 소리를 포착할 수 없는 스텔스 잠수함 ‘시울프(Sea Wolf)’를 개발하였다. 시울프는 높이 12m, 길이 107m, 9,137t으로 어뢰 발사관 8개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의 잠수함은 1970년대 개발에 착수되었으며 코스모스급(90~110톤)으로 불리는 잠수정이 생산되었고 1980년대 배수량 150톤 급의 돌고래 잠수정이 개발되었습니다. 돌고래 051 잠수정, 052 잠수정, 053 잠수정으로 개발되어 해군에 인계되었고 돌고래 051 잠수정은 2002년 퇴역하였고 현재 장보고급(배수량 1300톤) 잠수함인 박위함·최무선함·장보고함·이천함·이종무함 등 9척의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