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대 전쟁사 중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전쟁인 베트남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960년에 결성된 남 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NLF)이 베트남의 완전한 독립과 통일을 위해 북 베트남의 지원 아래 남 배트 남정부와 이들을 지원한 미국과 벌인 전쟁입니다. 

베트남의 독 김을 위해 프라스와 벌인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년~1954)과 구분해서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라고도 하며 월남전이라고도 합니다. 

배트남 전쟁 핼리본 작전중인 미군 이미지 

남 베트남 정부 붕괴된 1975년 4월 30일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북 베트남이 지원을 받은 남베트남 민족 해방전선과 남 베트남 정부 사이의 내전이라는 성격을 띠었으나, 1964년 8월 7일 미국이 통킹만 사건을 구실로 북베트남을 폭격한 뒤에 전쟁은 북베트남과의 전면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그리고 미국과 소련의 냉전 체제 하에서 한국, 타이,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중국 등이 참전한 국제적인 전쟁으로 비화되었으며, 미국이 캄보디아와 라오스 등으로 군사개입의 범위를 넓히면서 전장도 인도차이나 전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한편 전쟁 중에 미국, 한국군에 의해 미라이 학살, 빈호아 학살, 퐁니 퐁넛 양민 학살 등 베트남 민간인 학살이 자행되었습니다. 

 

1. 베트남 전쟁의 배경 

베타남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의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독립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습니다. 

1927년에는 베트남 국민당이, 1930년에는 인도차이나 공산당이 조직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뒤 일본이 베트남을 점령하자 호찌민을 중심으로 1941년 5월 19일 베트민(베트남 독립동맹)이 결성되었고 이들은 일본군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였습니다.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한 뒤에 베트민은 하노이를 점령하고 그해 9월 2일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수립과 독립을 선포했습니다. 하지만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1946년 11월 23일 하이퐁 항구에 함포 사격을 가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배트남전쟁의 전재 지도 이미지 

전쟁은 1954년 5월 7일 프랑스군의 거점인 디엔비엔푸 가 함락될 때까지 9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그리고 그해 7월 제네바에서 휴전협정이 성립되어, 북의 17˚선을 경계로 베트남은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습니다. 

 

제네바 협정에서는 1956년 국제감사위원회의 감독 아래 베트남 전역에 걸쳐 자유선거를 실시하도록 규정했으나 1955년 미국의 지원을 받아 남베트남(베트남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된 으오딘지엠은 선거 실시를 거부했습니다. 

 

그리고 농민들이 베트민의 토지개혁으로 분배받은 농지를 다시 회수하고, 친 가톨릭 정책을 펼쳐 민중의 반발을 샀습니다. 이에 대한 불만으로 각지에서 봉기가 일어났는데 , 초기에 카오다이나 호아하오등의 종교집단을 중심으로 시작된 봉기에  베트민의 구성원들이 합세하면서 1950년대 중반에는 이른바 베트콩이라고 불리는 게릴라 군사조직으로 발전했습니다. 

 

지엠 정권은 1958년 반공법을 시행하는 등 대대적인 탄압으로 반발을 억누르려 했으나, 남베트남의 반란 세력은 1960년 12월 20일 남베트남 민족 해방전선을 결성해 정부군과 본격적으로 맞섰습니다. 

이들은 민족민주정부의 수립, 토지개혁, 평화통일, 중립 외고 등 10개 항을 강력으로 내세웠습니다. 

 

2. 베트남 전쟁의 경과 

지엠 정권에 대한 반발이 확대되자. 

1963년 즈엉반민 등은 미국의 방조 아래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응오 디지엠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하지만 이렇든 남 베트남의 상황이 악화되자 미국의 존슨 정부는 남베트남에 주둔하는 미군의 숫자를 늘렸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구축함이 북베트남의 어뢰 공격을 받았다는 이른바 '통킹만 사건'을 구실로 1964년 8월 7일 북베트남에 폭격을 가해 전쟁을 북베트남과의 전면전으로 확대했습니다. 

 미국은 그 뒤 1968년까지 북베트남에 약 1백만 톤에 이르는 폭탄을 퍼부었으며, 약 55만 명에 이르는 지상군을 파병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 조약기구(SEATO) 등에 파병을 요청해 한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국, 필리핀 등의 참전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1968년 1월 30일 음력 설날을 이요한 구정 대공세를 펼쳐 주요 도시들에서 미국과 동맹국들의 주요 시설을 점령했습니다. 

그리고 그 성과를 배경으로 1969년 6월 8일에는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정부를 수립했습니다. 

미군과 남베트남 정부군은 곧바로 빼앗겼던 도시와 시설들을 탈환했지만, 이 사건은 미국의 여론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전쟁의 승리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국에서는 반전 여론이 높아졌고, 결국 존슨 대통령은 재선에 실패하고 군사개입의 중단을 내세운 닉슨이 대통령으로 단성 되었습니다. 

닉슨은 1969년 닉스 독트린(Nixon Dodrine)을 새로운 안보 외고 전략으로 내세우며 미군의 철수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구정 대공세 이후인 1968년 5월부터 미국과 북 베트남의 정전 협상이 시작되었습니다. 

1972년까지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1970년 이후에는 미국이 캄보디아의 내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면서 전장이 캄보디아와 라오스 등 인도차이나 전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1972년 4월 남베트남 민족해방 전선이 각지에서 대규모 봉기를 일으키자, 미국은 북베트남의 모든 항만에 기뢰를 부설하고 하노이와 하이퐁에 대규모 폭격을 가하는 등 북베트남에 대한 공해를 더웅 강화하기도 했습니다. 

 

배트남 전쟁 정리동영상

그러나 1972년 여름부터 미국과 북베트남 사이의 정전 협상이 비밀리에 재개되었고 마침내 1973년 1월 27일 파리에서 평화협정이 체경되었습니다. 

파리협정은 남북의 휴전과 선거를 통한 통일정부 구성, 60일 안에 모든 미군의 철수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평화협정을 체결한 뒤 미군은 남 베트남에서 완전히 철수했고 북베트남과 미군 상이에 포로 교환도 이루어졌으며 

미국은 남베트남에 대한 원조 규모를 크게 줄였고, 오일쇼크로 촉발된 경제위기를 배경으로 1974년 1월 남베트남 민족 해방전선과 남 베트남 정부 간의 강등은 다시 무력 충돌로 확대되었습니다. 

 

결국 북 베트남은 1975년 대규모 공세를 벌여 그해 4 울 30일 남베트남의 수도인 사이공을 점령했고, 남베트남의 대통령이던 즈엉반민의 항복을 받았습니다. 

 

시 이공이 점령된 뒤 남베트남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1976년 7월 2일 남북 베트남이 통합해낸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베트남은 하나의 국가로 통일되었습니다. 

 

3. 베트남 전쟁과 한국

한편, 한국은 베트남 전쟁에 미국 다음으로 많은 병력을 파병한 국가입니다. 

한국은 1964년 9월 의료진을 중심으로 한 비전투요원을 파견한 것을 시작으로 맹호부대와 청룡부대, 백마부대 등 30만 명이 넘는 전투병력을 베트남에 파병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1만 6천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많은 참전 군인들이 고엽제 피해 등의 후유증에 시달렸습니다. 

1999년에는 1만 6천여 명의 고엽제 피해자들이 고엽제 제조사들인 미국의 다우케미컬과 몬산토 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