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썸네일 

목차

  1. 임진왜란의 발발함- 1592년 4월, 일본의 침략
  2. 의병과 관군의 승리하다-조선의 반격이 시작
  3. 진주 대첩과 진주성 함락- 피로 싸워 막아내다.
  4. 왜란의 영향은- 전쟁이 가져온 영향
  5. 이순신 장군의 알아보기

1.임진왜란의 발발함- 1592년 4월, 일본이 침략

"10만 군사를 기르자" - 이이의 십만양병설
1583년 어느 날, 이이는 왕을 찾아가 “나라가 태평하니 군대와 식량이 준비되지 않아 적이 침범해 와도 막아낼 수 없습니다.”라며 10만의 군사를 길러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자고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얼마 뒤 통신사 사신으로 일본에 간 황윤길과 김성일의 보고는 달랐습니다. 황윤길은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높으니 전쟁에 대비하자고 했지만 김성일은 반대했습니다. 그리고 10년 뒤, 일본은 20만이 넘는 군사를 이끌고 침략했습니다.

빠르게 밀려오는 왜군
1592년 4월, 왜군은 명나라로 가는 길을 내달라는 구실로 부산 앞바다에 나타났습니다. 왜군은 부산진성과 동래성을 순식간에 무너뜨리고, 한양을 향해 쳐들어왔어.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조선 군대는 여기저기서 패하고 말았습니다.

선조는 신립 장군에게 희망을 걸었습니다. 신립은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치고 결사적으로 싸웠지만 신무기인 조총으로 무장한 왜군을 막아내는 것은 어려웠습니다. 결국 신립은 강물에 몸을 던졌습니다. 왜군은 20여 일 만에 한양을 점령했고, 선조는 평양성을 거쳐 의주까지 피난을 가서 명나라에 구원병을 요청했습니다.

임진왜란 때 왜군의 침입로

2. 의병과 관군의 승리 - 조선의 반격이 시작

우리 고장은 우리가 지키자 - 의병
전쟁 초기에는 관군의 패배로 나라 전체가 큰 어려움에 처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일본군의 손에 죽었고, 온 나라가 일본군에 짓밟혔습니다. 이와 같은 위기 속에서 나라를 지켜낸 분이 이순신 장군을 비롯한 우리 수군이 입니다.
한편, 바다에서 승리가 계속되는 동안 육지에서는 의병이 일어났습니다.

의병이란?
나라를 구하기 위해 스스로 일어난 의로운 병사들을 말합니다. 의병은 마을의 지리에 밝다는 이점을 이용해 매복·기습·유격(게릴라) 전을 벌이며 용감히 왜군을 막아냈습니다. 주로 전직 관료와 유생, 승려가 의병장이었고, 농민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당시 의병장으로 이름이 높았던 사람은 가장 먼저 의병을 일으킨 경상도의 곽재우와 정인홍, 충청도의 조헌, 전라도의 고경명과 김천일, 함경도의 정문부 등이 있습니다.

또 묘향산의 서산대사와 금강산의 사명대사도 승병장으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특히 곽재우는 붉은 비단옷을 입은 채 백마를 타고 싸워 ‘홍의장군’이라 불리었는데, 왜적들은 그의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었다고 합니다.

주요 의병의 활동 지역

3. 진주 대첩과 진주성 함락 - 피로 싸워 막아내다.

1592년 4월, 전쟁이 시작된 후 일본군의 세력은 파죽지세였습니다. 그래서 전쟁 초기 1~2개월 동안 관군은 계속 지기만 했습니다. 하지만 가을로 접어들면서 조선군도 승전보를 보내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 전투가 10월에 벌어진 진주성 싸움이야.
당시 진주 목사 김시민은 4,000명도 안 되는 병사를 거느리고 있었습니다. 3만에 가까운 일본군에 비하면 크게 열세였습니다. 10월 6일 전투가 시작되자 일본군은 진주성을 포위하고 공격을 퍼부었습니다. 일본군은 사다리와 나뭇단을 성벽에 기대어 놓고 그것을 밟고 기어올라 성벽을 넘으려 했습니다. 또 3층짜리 누각을 만들어 그 위에서 조총으로 사격을 가했습니다.
하지만 성안의 백성들은 김시민의 지휘 아래 활을 쏘아 일본군을 막아내고, 성벽을 기어오르는 적에게는 돌을 던지거나 뜨거운 물을 끼얹어 물리쳤습니다. 일본군은 모든 병력을 동원해 공격했지만 결국 실패했고, 치열했던 진주성 전투는 조선군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김시민은 왜군의 총에 맞아 숨을 거두었습니다.

그런데 1593년, 진주성에서의 패배를 앙갚음하려는 왜군이 다시 쳐들어와 두 번째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관군과 의병의 결사적인 저항에도 불구하고 진주성은 함락당하고 말았습니다. 이 싸움 당시, 논개라는 여성은 적장을 끌어안고 장렬하게 순국했습니다.

4. 왜란의 영향 - 전쟁이 가져온 것들

불타고 있는 경복궁
전쟁은 명나라 군대가 조선에 도착하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게 됐습니다. 명군과 일본군이 두 차례의 전투를 치른 뒤 1593년 4월, 휴전 회담을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 것이 아니어서, 백성들은 왜군과 치열한 전쟁을 치르면서도 한편으로는 명나라 군대를 먹여 살리느라 고통은 말할 수 없이 컸습니다.
1597년 일본이 휴전 회담을 깨고 다시 쳐들어 왔는데, 이를 정유재란이라고 해. 하지만 조선의 육군과 수군은 왜군을 모두 물리치고 전쟁을 끝냈습니다.

7년에 걸친 두 차례의 왜란으로 온 나라는 폐허가 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잡혀갔습니다. 또 정부에서는 부족한 재정을 확충하기 위해 백성에게 곡물을 받고 벼슬을 팔아 신분을 높여 주어 신분 제도에도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뿐만 아니라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사고, 경복궁, 불국사 등이 불에 타는 등 문화재의 손실도 컸습니다. 그리고 도자기 기술자와 성리학자들이 일본에 납치되어 갔는데, 이들은 후에 일본의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됩니다.

5. 이순신 장군을 알아보기

이순신장군사진

이순신 장군의 생애
이순신 장군은 1545년 서울에서 태어났어. 어려서부터 활쏘기를 좋아했던 그는 28세 때 무과(武科)에 응시했지만, 시험을 보던 중 타고 있던 말이 거꾸로 넘어지는 사고가 일어나 낙방을 했습니다.
하지만 4년 뒤 무과에 합격한 후 여러 변경 지역의 장수와 정읍 현감을 거쳐 유성룡의 추천으로 전라 좌수사에 임명되었되었습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 전라 좌수사로 있던 이순신은 1592년 5월 옥포 해전을 첫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이어 사천·당항포·한산도·부산포 해전을 모두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거북선설명

거북선이란?
거북선은 조선의 판옥선을 개량해 만들었습니다.
판옥선이란? 조선 수군의 전투함이야. 노를 젓는 1층과 함포를 발사하는 2층으로 구성된 크고 높은 배로, 왜군이 쉽게 배 위에 뛰어오르지 못했습니다. 거북선은 돌격용 전투함으로, 구조는 판옥선과 비슷하지만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철심이 박힌 거북 등딱지 같은 것이 있고, 그 아래 노를 젓는 사람과 포를 쏘는 포수가 있었습니다.
또한 뱃머리에 용머리와 도깨비 머리를 달고 있어 공포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또한 2개의 돛이 기동력을 높일 수 있어, 적의 배 사이로 깊숙이 침투하여 접근전을 펼칠 수 있는 조선 수군의 최고 무기였습니다.

한산도 대첩
이순신 장군의 가장 통쾌한 승리가 뭘까? 바로 세계 3대 해전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한산도 대첩입니다. 1592년 7월 몇 차례의 해전에서 패한 일본 수군이 모든 함대를 모아 총공격에 나서자, 이순신 장군은 이들을 한산도 앞의 넓은 바다로 유인했습니다. 그런 다음 학이 날개를 편 모양으로 적의 함대를 둘러싸 포위하는 ‘학익진 전술’을 폈습니다. 포위당한 왜군은 많은 군사와 배를 잃고 도망치기에 바빴습니다.

명량 대첩
1597년 8월 이순신 장군이 다시 삼도 수군통제사가 되어 돌아왔을 때, 남아 있는 배는 겨우 13척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실망하지 않습니다, 부녀자들에게 강강술래를 하며 빙글빙글 돌게 하여 군사가 많은 것 같이 위장하고, 물살이 거센 울돌목(명량)으로 왜선을 유인하여 133척을 대파시키는 큰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명량 대첩입니다.

노량 대첩
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면서 일본군은 철수하기 시작했습니다. 1598년 11월, 이순신 장군은 퇴각하는 왜군을 격파하기 위해 일본군 전함 300척과 노량에서 최후의 해전을 벌였습니다. 안타깝게도 이 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은 적의 총을 맞아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이순신 장군은 죽는 순간까지도 “싸움이 위급하니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라고 하셨습니다. 우리 민족의 진정한 영웅은 이렇게 죽음을 맞았습니다.

토크멘터리 전쟁사 참고

참고문헌: 한국사 개념사전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